스프링 컨테이너 생성과정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스프링 빈 등록

스프링 빈 의존관계 설정 - 준비

스프링 빈 의존관계 설정 - 완료

스프링 빈 조회 - 기본
- 스프링 빈 찾는 가장 기본적인 조회 방법
ac.getBean(빈이름, 타입)
ac.getBean(타입)
스프링 빈 조회 - 동일한 타입이 둘 이상
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의 스프링 빈이 둘 이상이면 오류 발생
==> 빈 이름을 지정
==> ac.getBeansOfType() 을 사용하면 해당 타입의 모든 빈을 조회
스프링 빈 조회 - 상속관계
: 부모 타입으로 조회하면, 자식 타입도 함께 조회
자바 객체의 최고 부모인 Object 타입으로 조회하면, 모든 스프링 빈을 조회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
-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
- getBean() 을 제공
ApplicationContext
-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수 많은 부가기능이 필요

다양한 설정 형식 지원 - 자바 코드, XML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 BeanDefinition

BeanDefinition
본 포스트는 김영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좌를 바탕으로 작성한 포스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