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string\'' // < "this is 'string'"
>'this is \t string' //<'this is \t string'
>"안녕" + " 하세요" //<'안녕 하세요'
>"안녕하세요".length //<5
boolean(불리언)
참과 거짓(true/false)을
1==1 //true
1=="1" //true
1==="1" //false
"kk".length >= 5 //kk의 글자수는 2로 2는 5보다 크거나 작은 것은 거짓이다. 따라서, 결과는 false이다.
!("kk".length >= 5) //kk의 글자수는 2로 2는 5보다 크거나 작은 것은 틀렸다. 따라서, 결과는 true이다. !는 결과 값이 일치하지 않음을 표현할 때 쓰인다.
&&(AND)
값이 둘 다 일치해야 true가 나온다.
true&&true 일시에만 true가 출력되며, 그 이외에는 false가 출력된다.
||(OR)
값이 둘 중 하나라도 일치하면 true가 나온다.
단, false || false 일 경우에만 유일하게 false가 출력된다.
++1과 1++의 차이
앞에 ++를 표기하면 ++ 연산자를 실행을 먼저해서 2가 출력된다. 반대로, ++ 연산자를 뒤에 표기하면 1이 먼저 출력된다.
alert(num++) => alert(num) -> num=num+1
alert(++num) => num=num+1 -> alert(num)
if(조건문){
실행문1
실행문2
}
실행문3
거짓 실행문3
참 실행문 1 2 3
위와 같이 실행문3을 실행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코드로 작성한다.
const date = new Date()
const hours = date.getHours()
if(hours < 12){
alert(`현재 시간은 ${hours} 시입니다. 그래서 오전입니다.`)
}
else{
alert(`현재 시간은 ${hours} 시입니다. 그러므로, 오후입니다.`)
}
if는 조건식을 작성할 때 참일 경우에는 실행문이 모두 실행하나 else를 작성할 시에는 else에 해당되는 실행문은 실행되지 않는다.
조건식이 3개로 이뤄진 경우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if(조건문1){
if(조건문2){
실행문1
}else{
실행문2
}
}else{
if(조건문3){
실행문3
}else{
실행문4
}
}
if문은 중첩해서 사용할 수 있다.
const date = new Date()
const hours = date.getHours()
if(hours < 11){
alert(`아침식사시간입니다.`)
}
else{
if(hours >= 12){
alert("점심식사 시간입니다.")
}else{
alert("저녁식사 시간입니다.")
}
}
if절을 중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else if문을 사용해서 더 깔끔하게 작성할 수 있다.
if(조건문){
실행문
}else if(조건문){
실행문
}else{
실행문
}
예시)
const date = new Date()
const hours = date.getHours()
if(hours < 11){
alert(`아침식사 시간입니다.`)
}
else if(hours >= 12){
alert("점심식사 시간입니다.")
}
else{
alert("저녁식사 시간입니다.")
}
1) false
2) undefined
3) null
4) 0
5) NaN
6) the empty string ("")
switch(값){
case 조건
실행문
case 조건
실행문
case 조건
}
하지만, 스위치문으로 작성할 경우, 원하지 않는 case가 발생하기 때문에 밑 부분에 break;를 작성하면 된다. Switch 문 마지막에는 default: 를 입력하면 된다.
const ivalue = Number(prompt("숫자를 입력하세요","0~100"))
switch(ivalue%2){
case 0:
alert("짝수입니다.")
break;
case 1:
alert("홀수입니다.")
break;
default:
alert("숫자가 아닙니다. 확인해보세요")
}
JavaScript에서 세 개의 피연산자를 취할 수 있는 연산자다. 맨 앞에 조건문 들어가고. 그 뒤로 물음표(?)와 조건이 참truthy이라면 실행할 식이 물음표 뒤로 들어간다. 바로 뒤로 콜론(:)이 들어가며 조건이 거짓falsy이라면 실행할 식이 마지막에 들어간다. 보통 if 명령문의 단축 형태로 쓰인다.
condition ? exprIfTrue : exprIfFalse
condition (조건문)
조건문으로 들어갈 표현식
exprIfTrue (참일 때 실행할 식)
condition이 Truthy일 때 실행되는 표현식입니다. (true일 때 치환될 값입니다).
exprIfFalse (거짓일 때 실행할 식)
condition이 falsy일 때 실행되는 표현식입니다. (false일 때 치환될 값입니다).
아래는 삼항 조건 연산자를 출력하는 코드이다.
const ivalue = prompt("숫자입력")
const num = Number(ivalue)
const result = (num >= 0)?'0이상의 숫자':'0보다 작은 숫자'
alert(result)
function example(…) {
return condition1 ? value1
: condition2 ? value2
: condition3 ? value3
: value4;
}
// 위의 코드는 아래의 코드와 동일합니다.
function example(…) {
if (condition1) { return value1; }
else if (condition2) { return value2; }
else if (condition3) { return value3; }
else { return value4; }
}
이번 수업은 예전에 독학으로 배웠던 것을 응용할 수 있어서 대체적으로 무난했다. 그저 내가 어려웠던 것은 메서드나 DOM과 같은 것이 내가 익숙해져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자바스크립트와 관련된 서적과 자료, 그리고 W3 웹페이지로 가서 자바스크립트에 관한 걸 보고 직접 실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수업은 반복문과 조건문에 관한 수업이다. 대부분의 내용은 내가 독학할 때 배웠던 것이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었고 삼향 조건문도 읽고 직접 작성을 한다면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