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프텔의 요일별 신작 API를 알아보자.요일별 신작의 데이터를 받는 URL은 다음과 같다(저번 포스팅에서 말했던 것처럼, Header에 Laftel: Tejava를 붙여야 한다)이 API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API의 Data는 다음과 같다)이 API를 살펴보면, 대
예전 플리 컬렉션의 URL은 다음과 같다 : 플리컬렉션(전)살면서, 웹 개발 기술은 익힐대로 익혔지만 정작 내가 뭔가를 만들어서 끝까지 운영해본 경험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사실 일일미궁이라는 간단한 프로젝트를 배포하긴 했었다.)그래서 이번에는 아예 각잡고 진지하게
이 튜토리얼은 개발은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개발을 하는 건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대학교에서 프로그래밍에 처음 입문한 사람이나, 경시 대회 프로그래밍엔 익숙하지만 막상 뭔가를 만들어본 적은 없는 사람들, 그리고 예전에 집에 있는 서버로 뚝딱뚝딱 뭔가
Google Colab(구글 코랩)은, 구글 클라우드 위에서 동작하는 Jupyter Notebook이다(세세하게는 Jupyter Notebook과 다른 부분도 있긴 하다).여기를 통해 들어갈 수 있다. 이 포스팅에서는 구글 코랩을 사용해 간단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 보
AWS chalice를 이용해, 이메일을 전송하는 Lambda Function을 만들어봅시다.
이제 Queue에 쌓인 메세지에 반응하는 Lambda Function을 만들어봅시다.
이번 시간에는 실제로 Lambda Function에서 SQS로 메세지를 보내도록 만들어보자.
이 포스팅에서는 chalice를 사용해 SQS를 경유하는 Lambda Function을 만들어봅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에서 자주 쓰이는 서비스들을 나열하고, 앞서 나열한 서비스 외에도 유용해 보이는 서비스들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서버를 구입할 필요 없이, 서버가 필요할 때마다 클라우드 내에 가상 서버를 생성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기업들이
이 포스팅의 정보는 공식적이지 않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라프텔 API를 사용해 라프텔의 DB 정보를 크롤링하는 코드를 만들었다. 각각의 분기마다 방영된 애니메이션은 지난 시간의 포스팅에 사용한 코드로 충분히 크롤링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의 내용은 공식적이지 않습니다.이전 포스팅 바로가기지난 시간에는 라프텔 API에 직접 요청을 전송해 보고, 받은 결과값이 어떠한 의미인지 대충 알아보았다. 우리의 목적은 각각의 분기마다 방영되었던 애니메이션을 검색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개의 작품 모두를 요청하
이 포스팅의 정보는 공식적이지 않습니다. 라프텔이라는, 일종의 애니메이션판 넷플릭스 서비스가 있다. 한국에서 정식으로 들어온 애니메이션은 거의 다 있다고 보면 된다(물론 넷플릭스 독점 등의 독점작은 없다)....
AWS Step Functions은 시각적 워크플로우를 사용해 분산 애플리케이션 및 마이크로서비스의 구성 요소를 손쉽게 조정하도록 해주는 웹 서비스입니다. 각각 기능 또는 작업을 수행하는 개별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면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확장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