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546번 1차원 배열문제이다. 처음으로 답안을 안보고 혼자서 성공적으로 풀어냈다. 폭풍 감동 중... 난 더 이상 기초 코테문제 하나 못 푸는 코알못이 아니다!
Fetch는 브라우저에 내장된 비동기방식으로 데이터를 불러오는 기능이다. promise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 또는 실패 했을 때 후속 처리가 가능하다. 미래에 어떤 시점에서 결과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반환 한다. async, await는 데이터 전송의 성공 실패를 기다
오늘은 컴포넌트 간의 통신방법과 전역에서 값을 전달 해줄수 있는 Context API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위의 코드를 보면 useState()를 통해 넣어준 상태 값을 props를 통해 한층 한층 컴포넌트 사이에서 내려주는데, 이는 매우 불편하다. 특히 복잡한
기본 사용법 먼저 StyleButton.jsx라는 컴포넌트 파일을 만들고 내부에 이렇게 작성한다. 그리고 App.js에 이렇게 버튼을 추가해준다. 이런 방법으로 작성한 CSS속성은 버튼 태그에 추가되고, head에 스타일 속성이 자동으로 만들어지고,body 부분 태그에
"import { Redirect, Route, Switch, } from 'react-router-dom';"라는 방식으로 라우터 패키지를 가져와서 쓸 수 있다. 이렇게 Switch 태그로 순서를 작은 범위부터, 큰 범위로 작성을 한다. 이 경우 props에 e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