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etc

Geeho.a·2020년 10월 28일
0

/etc는 시스템 설정파일들이 들어있음. 사용자 관리를 위한 암호관련 파일, 네트워크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등 시스템 전반적인 관리 파일이 들어있다.
(아래 설정정보 파일들 한번씩 들어가서 확인해보기)

  • /etc/hosts : 리눅스 시스템에 있는 도메인네임과 IP주소를 대응해놓은 파일.

  • /etc/export : 어떤 파일시스템들이 원격 호스트에 export되는지를 컨트롤 하고 옵션을 지정한다.

  • /etc/network/interfaces :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본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 /etc/netmask : 해당되는 IP에 맞게 network masking을 설정

  • /etc/hostname : 호스트명이 기록되어있음

  • /etc/protocols : 각종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포트가 저장되어 있음

  • /etc/services : 리눅스 서버에서 사용하는 모든 포트들에 대한 정의가 설정되어 있음

  • /etc/resolv.conf : 리눅스 DNS(Domain Name System) 설정파일

  • /etc/inetd.conf : inetd는 인터넷수퍼데몬이라고 하는 것으로 외부 네트웍의 요청이 있을 때 /etc/inetd.conf에 등록되어 있는 내부 프로그램인 인터넷 서비스들의 데몬을 실행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etc/passwd : 시스템에 등록된 계정들을 확인 할 수 있다. user_id(사용자 ID), encrypted_passwd(암호화된 패스워드), uid(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 gid(그룹), comment(주석.공백으로 두어도 무관), home_directory(사용자 홈 디렉토리), login_shell(사용자가 사용하는 셸 경로)

  • /etc/shadow : /etc/passwd에 회원의 정보가 담기는데 passwd는 모든 유저가 읽을 수 있어야 login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passwd파일의 퍼미션은 유저들에게 r퍼미션이 주어진다. 이때문에 보안에 취약해서 나온것이 shadow 이다. 암호화된 비밀번호만 퍼미션을 막은해 놓아둔다. passwd파일에 비밀번호가 들어갈 자리에 x라는 문자만 표시되어 있고 login시 passwd파일은 shadow파일의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참조하게 된다.

  • 리눅스 hash?
    $PATH와 기억된 경로를 통해 명령어를 찾은 이력(해시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 -r옵션을 주게되면 해시 테이블을 초기화 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