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파일시스템|ext

Geeho.a·2020년 10월 28일
0

--> 옵션들이나 명령어 형식 확인해보기

  • fdisk 명령어 : 주로 파티션을 나눌ㄸ 때 사용

  • superblock : 각 파일시스템별로 구현하며, 파일시스템 전반에 걸친 메타데이터를 저장. 파일시스템의 유형과 크기, 상태, 다른 메타데이터 구조체의 정보가 들어있다. 슈퍼블록은 매우 중요하다.

  • inode :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 파일 이름은 inode번호화 함께 디렉토리 안에 저장된다. (접근권한/소유주/파일크기/inode번호 등..)

  • datablock : inode에 포함된다. inode가 몇개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있음. 데이터블록은 파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 실제 데이터 내용이 저장되는 디스크 영역

  • bootblock : 운영체제를 부팅시키기 위해 필요한 코드를 저장. 하드웨어가 부팅에 필요한 코드를 부트블록에서 찾는다.


    1. ext
      EXTended file system, 확장파일 시스템의 줄임말. 리눅스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됨 암호화는 지원되지 않음.
    1. ext2
      리눅스 파일시스템으로 사용. ext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하였다.
    1. ext3
      ext2에서 자료 삭제 및 손실없이 ext3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저널링
  • 저널링(Journaling)?
    복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파일 혹은 데이터를 실제로 디스크에 쓰는 생성 및 수정과정 전에 log에 수정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남긴 후 해당 내용을 디스크에 저장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종료시에도 로그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사용한 검사로써 fsck(file system Check)빠른 속도와 무셜겅, 안정적인 복구기능을 제공하는 파일시스템 기술.
    ext3파일시스템부터 새롭게 적용된 기술이다.


  • Linux 시스템로그
    언제,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접속했는지에 대한 로그가 남는다.
  1. /var/log/secure 확인
    사용자들의 원격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로그. 불법침입이 의심이 되면 이 로그 파일을 확인

  2. /var/log/dmesg
    부팅이 될 때 발생되는 모든 메세지 로그를 포함하고, 주로 하드웨어 설정 관련 문제의 로그를 볼 때 확인

  3. /var/log/audit
    감사로그는 설정된 감사 룰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기록

... 이외에도 있으니 한번 찾아볼 것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