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DS 설정

김지환·2023년 11월 16일
0
post-thumbnail

안녕하세요! 제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WS RDS를 처음 사용해 보았는데 너무 편리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초기 세팅하는 방법을 작성해서 저 뿐만 아니라 다른 분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AWS 회원가입 후 RDS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

🚨 오른쪽 상단에 지역(리전)이 서울로 되어있는지 꼭 확인해야합니다! 지역(리전)에 따라서 비용이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


2. 데이터베이스 생성 🎲

저는 MariaDB를 사용할 것이며 가능한 최저비용(무료)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세팅하였습니다.

표준 생성, MariaDB(사용할 DBMS), 엔진 버전은 최신버전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MySQL, MariaDB, MSSQL,PostgreSQL, Oracle 등)


템플릿은 프리 티어로 설정하였으며, DB 인스턴스 식별자와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를 설정해 줍니다.

🚨 비용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꼭 프리티어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또한 설정의 식별자, 이름, 암호는 까먹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


인스턴스 구성, 스토리지는 기본 값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연결의 퍼블릭 엑세스를 '예' 로 지정해 줍니다. 기존 VPC 보안 그룹은 default, launch-wizard-1로 설정합니다.


3. 보안 그룹(인바운드 규칙) 설정 🎲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완료했다면 다시 Amazon RDS → 데이터베이스로 돌아가서 생성한 DB 식별자를 클릭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과정 중 설정해 놓았던 보안 그룹 launch-wizard-1을 클릭합니다.


보안 그룹 ID를 클릭해줍니다.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클릭합니다.


유형은 MYSQL/Aurora, 프로토콜 및 포트 범위는 TCP, 3306으로 설정해줍니다.

⭐ DBMS 기본 포트번호

  • MySQL / MariaDB : 3306
  • MSSQL : 1433
  • Oracle : 1521
  • PostgreSQL : 5432

4. 데이터베이스 연결 🎲

저는 무료 데이터베이스 관리 TOOL인 'DBeaver' 을 사용하였습니다. DBeaver 설치 후 기존에 aws rds에 생성한 데이터베이스가 사용 가능 상태라면, 아래 사진과 같이 진행해줍니다.


AWS RDS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본인이 설정한 DBMS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3. 보안 그룹(인바운드 규칙) 설정]의 연결 및 보안에 있는 엔드포인트와 ([3. 보안 그룹(인바운드 규칙) 설정] - 2번째 사진)

[2. 데이터베이스 생성 - 템플릿 및 설정]의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마스터 암호를 위의 사진과 같이 입력한 뒤, Test Connection을 클릭합니다.


MariaDB driver files를 다운 받습니다.


위와 같이 Connected 문구가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확인을 누른 뒤 완료를 클릭하여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마무리 합니다. 😊


+ MySQL Workbench에서 AWS RDS 연결하기

MySQL Workbench 설치 후 위와 같이 +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Connection Name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이름으로 작성하고, 미리 생성했던 AWS RDS의 엔드포인트와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를 입력해 줍니다.


Test Connection을 통해 연결이 잘 되는지 확인한 후 OK를 하면 완료입니다. 🤗


AWS RDS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하며 관리가 편하고 고가용성, 확장성, 보안등의 면에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 과정을 진행하면서 다음에는 AWS RDS의 더 자세한 기능들을 활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너무 재밌는 경험이었습니다.😤 제 AWS RDS 초기 세팅이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해요!! 감사합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