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요금 확인하기 (AWS Cost Explorer, AWS Budgets 등)

김지환·2023년 11월 19일
0
post-thumbnail

안녕하세요! 제가 AWS를 사용하다 보니 AWS의 요금을 확인하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이 가게 되었는데요, AWS는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이 천차만별입니다. 제 지인도 AWS의 요금 확인을 안 해서 약 140만 원의 비용을 지불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AWS 요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AWS의 요금을 확인하는 방법과 과금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


AWS Cost Explorer 📊

우선 AWS 로그인을 마치고 메인화면으로 넘어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콘솔에서 비용 및 사용량의 'AWS 비용 관리로 이동'을 클릭해 줍니다.


홈에서는 이번 달 비용과 예측된 월말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왼쪽 상단에 Cost Explorer을 클릭해 줍니다.


여기서는 비용 및 사용량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하단에는 분석 데이터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왼쪽 상단에서 보고서로 이동하게 된다면 위와 같이 AWS에서의 활동 내역 보고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Budgets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AWS Budgets 💰

AWS Cost Explorer 기능을 통해 본인의 AWS 활동 비용과 예상 비용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단점으로는 예상 비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접속하여 자주 확인을 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AWS Budgets을 사용하면 자신이 정한 기준치 이상 과금이 되었을 때 이메일 등으로 알림이 오게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Budgets을 클릭 후 예산 생성을 시작합니다.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옵션을 선택한 후 자신의 이메일까지 잘 입력 후 예산 생성을 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잘 생성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세팅을 위해서는 예산 이름을 클릭해 줍니다.


예산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른쪽 상단의 편집을 클릭해 줍니다.


예산 편집을 통해 예산 설정이 가능합니다. 예산 금액 설정(기간, 갱신 유형, 책정 방법, 예산 금액 입력) 및 예산 범위, 알림 등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AWS는 유용한 기능들이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지만, 발생하는 비용들을 항상 주의 깊게 확인을 해야 합니다. 제가 작성한 방법으로 AWS Cost Explorer 확인을 자주 하고, AWS Budgets 설정을 해놓는다면 과금을 피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