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닉스/리눅스는 운영체제이다. 리눅스는 무료이다. 리눅스 배포판은 리눅스 커널 +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유닉스/리눅스의 역사1969년 AT&T 산하의 벨연구소에서 켄 톰슨과 데니스 리치가 어셈블리어로 개발1973 C언어를 이용하여 재개발 -> 고급 언어로
컴파일이란 텍스트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시스템이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이다.make는 소스 파일 여러 개를 묶어서 실행파일을 생성하는 도구이다.프롬프트란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기다리는 표시를 나타낸다.명령어의 구성은 ‘명령어 옵션 인자2 ....’로 되어
리눅스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특수 파일, 디렉터리리눅스 파일 구성 : file name, i-node, data block리눅스 시스템 파일 입출력 : 저수준 / 고주순 파일 입출력
저수준 파일 입출력파일 지시자 : int fd;파일 참조 : 파일 기술자 (file descriptor)특징 : 커널의 시스템 호출 사용, 바이트 단위로 파일 다룸, 처리 속도가 빠름주요함수 : open, close, read, write, dup, dup2고수준 파일
파일은 관련 있는 데이터들의 집합으로 하드디스크 같은 저장장치에 일정한 형태로 저장된다.유닉스에서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장치에 접근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저수준 파일 입출력파일 지시자 : int fd(파일 기술자)특징 : 더
유닉스/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이란 유닉스/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호출(시스템 콜, 시스템 함수)을 사용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호출의 오류 처리방법은 성공하면 0을 리턴, 실패하면 –1을 리턴한다.라이브러리 함수의 오류 처리방법은 오류가 발생하면 NU
data block데이터가 저장되는 실제 하드 디스크 공간i-node파일 종류, 접근 권한, 하드 링크 개수, 소유자의 UID, GID, 파일의 크기, 파일 접근 시각/수정시각, 파일의 i-node 변경 시각, sys/stat.h 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stat 구조
컴퓨터 시스템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분됨하드웨어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인 기계 장치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주어진 일을 수행함이러한 하드웨어에는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등이 있음소프트웨어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
프로세스메로리에 적재되었거나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PID각 프로세스는 고유한 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PID임데몬 프로세스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며 리눅스 커널에 의해 실행고아 프로세스자식 프로세스가 아직 실행 중인데 부모 프로세스가 먼저 종료된 자식
fork() 함수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 : 자식 프로세스fork 함수를 호출한 프로세스 : 부모 프로세스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복사exec 함수군인자로 받은 다른 프로그램을 자신을 호출한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덮어씀프로세스가 수행중이던 기존 프로그램 중
프로세스 개념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프로그램(program)사용자가 컴퓨터에 작업을 시키기 위한 명령어의 집합문맥교환이전 프로세스의 상태 레지스터 내용 보관하고 다른 프로세스의 레지스터 적재하여 프로세스를 교환하는 일련의 과정스레드(thread)프로세스의 특성인 자원과
시그널소프트웨어 인터럽트 프로세스에 뭔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간단한 메시지를 비동기적으로 보내는 것시그널 처리방법각 시그널에 지정된 기본 동작 수행. 대부분의 기본 동작은 프로세스 종료시그널을 무시시그널 처리를 위한 함수(시그널 핸들러)를 지정해놓고 시그널을 받으면 해당
프로세스간 통신IPC : InterPrecess Commnunication동일한 유닉스/리눅스 시스템에서 수행 중인 프로세스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것메모리 매핑 : mmap(2)fildes가 가리키는 파일에서 off로 지정한 오프셋부터 len크기만큼 데이터를 읽어 add
파이프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임시공간임시 공간은 실제로 파일 시스템에 생성되는 임시 파일.파이프는 시스템 내부에서 관리하는 임시 파일을 이용하므로, 다른 IPC 기법 중 하나인 SIGNAL 과는 다르게 대용량의 메시지도 전송이 가능합니다.이름없는 파이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IP주소인터넷을 이용할 때 사용하는 주소로 점(.)으로 구분된 32비트 숫자TCP/IP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
데몬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송계층 프로토콜UDPUser Datagram Protocol비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송계층 프로토콜사용자 데이터그램형
디바이스컴퓨터시스템의 주변 하드웨어.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프린터, 단말기, 스캐너, 네트워크 어댑터, 터치 스크린, LCD디스플레이, 오디오 등등디바이스 드라이버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디바이스 시스템 구성device + controllerdevicecontr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