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bbitMQ 도입과 캐싱 처리하기

LJH·2021년 7월 17일
2

DevOps 강의 (feat. Foo)

목록 보기
16/16

1. RabbitMQ 컨테이너 띄우기

docker run -d --hostname my-rabbit --name some-rabbit -p 5672:5672 -p 15672:15672 rabbitmq:3-management
  • 여기서 포트를 두 개 열었는데
    5672 포트는 RabbitMQ와 통신하기 위한 포트이고,
    15672 포트는 모니터링 툴을 사용하기 위한 포트이다.

  • 로컬에 해당 이미지가 없어도 Docker hub에서 알아서 가져와 컨테이너를 만들어준다.


2. RabbitMQ 사용

2-1. 접속

  • 15672 포트로 접근하여 username : guest / pw : guest 로 로그인하면 위와 같은 모니터링 화면이 나온다.

  • 원래는 Admin 계정을 생성해서 관리해야하지만, 현재는 실습을 위해 Guest 계정을 이용한다.

2-2. 새로운 큐 만들기

  • Queues 탭으로 이동해, 아래 Add a new queue 버튼을 클릭 하여 새로운 큐를 만들어준다.

  • 나머지는 디폴트 설정을 그대로 가져가고 Name만 지정해준다.

  • 위와 같이 새로운 큐가 생긴걸 볼 수 있다.

2-3. 메시지 생성

  • 생성된 큐를 클릭해 들어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Publish message를 클릭해
    메시지를 넣어보자.

  • Payload에 값을 추가 후 Publish message 버튼을 누르자.

  • 그러면 메시지가 생성된 걸 볼 수 있다.

2-4. 메시지 확인

  • Get messages 항목에서 아까 넣은 메시지를 볼 수 있다.

  • Ack Mode를 Nack message requeue true로 하면 해당 메시지는 다시 큐로 들어간다.

  • Ack Mode를 Automatic ack로 변경하고 메시지를 꺼내면 다시 큐로 들어가지 않는다.

3. RabbitMQ 프로젝트에 적용

3-1. 의존성 추가

  • Maven Repository에서 의존성을 코드를 가져온 후 maven 빌드 툴을 사용한다면
    pom.xml에 추가해주면된다.

3-2. RabbitMQ 설정

  • 설정파일에 rabbitmq에 대한 정보들을 입력해 주자.

3-3. Producer 클래스 생성 후, 요청 메시지에 넣기

  • Producer는 메시지를 큐에 집어넣는 역할을 수행한다.

  • Post 클래스로 요청을 받지만 메시지에 넣어줄 때는 String 형태로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ObjectMapper의 writeValueAsString() 메서드로 변환해서 넣어준다.

3-4. 테스트

  •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테스트 하기 전에 PostgreSQL 컨테이너도 올라와 있어야 한다.

  • postman을 이용해 요청을 날려보면 정상적으로 응답이 오는걸 볼 수 있다.

  • id값은 따로 지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null이 나오는게 정상이다.

  • 다시 RabbitMQ 모니터링 화면으로 돌아가서 메시지를 뽑아보면
    방금 넣은 데이터를 볼 수 있다.

  • 이제 이 데이터를 Consume해서 DB에 넣어줘야 한다.

3-5. 메시지 뽑아서 DB에 값 넣기

  • 이 과정을 Consume이라고 한다.

  • @RabbitListener 어노테이션을 이용한다.
    queues 값으로 아까 생성한 큐의 이름을 매핑시켜주면 큐를 계속 컨슘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큐에 메시지가 들어오면 handler() 메서드가 호출된다.

  • 아까 큐에 메시지를 넣을 때 json 형태로 넣었기 때문에, 큐에서 메시지를 꺼내고 DB에 저장하기 위해서 다시 Post 클래스 형태로 변경해줘야 한다.

3-6. 테스트

  • 아까와 동일하게 postman으로 요청하고 모니터링 화면을 보면
    메시지가 큐에 들어갔다가 빠져나오는 걸 볼 수 있다.

  • 또한 하이버네이트가 찍어주는 로그에서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로컬환경에서 RabbitMQ를 적용하고 테스트 해보았다.
다음은 배포 환경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RabbitMQ 인스턴를 만들자.


4. RabbitMQ 인스턴스 만들기

  • 현재 로컬에서는 RabbitMQ를 로컬에서 도커 컨테이너로 띄워서 사용했지만
    GCP에 올라가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지금 만든 기능을 적용하려면 RabbitMQ 인스턴스가 필요함

  • 새 인스턴스를 생성해주고 5672, 15672 포트를 열어줘야 하기 때문에 방화벽에 규칙을 추가한다.
sudo yum -y install docker // docker 설치
sudo systemctl start docker // docker 실행
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 // docker 실행 권한 부여
docker run -d --hostname my-rabbit --name some-rabbit -p 5672:5672 -p 15672:15672 rabbitmq:3-management // rabbitmq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 이후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하고
    rabbitmq 인스턴스에 도커를 설치하고, rabbitmq 컨테이너를 띄운다.

  • 생성한 rabbitmq 인스턴스의 외부 ip로 접근해 로컬에서와 똑같이 Queue를 만들어준다.

  • 이 때 Name은 이전과 동일하게 한다. 이미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CREATE_POST_QUEUE 로 작성했기 때문이다. 물론 변경하고 싶으면 해도 된다.

인스턴스를 생성후, 해당 인스턴스에 RabbitMQ를 도커 컨테이너로 띄웠다.
이제 배포환경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설정파일을 수정하고 원격지에 코드를 적용해보자.


5. 원격지에 코드 적용

  1. datasource의 url을 로컬에서, GCP postgresql 인스턴스의 ip로 변경한다.

  2. rabbitmq의 설정을 적용한다. 각 워커 인스턴스들은 내부에서 붙기 때문에 host에 rabbitmq 인스턴스의 내부 ip를 적어주면 된다.

  • merge 하는 과정은 이전 글에 많이 했기 때문에 생략한다.

  • 위와 같이 로컬과 origin에 있는 main, develop 모두 적용된 걸 볼수있다.

로컬에서 개발한 기능을 origin에도 적용했다.
이제는 글 목록을 캐싱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배포해보자.


6. 캐싱 처리하기

  • @EnableScheduling 어노테이션을 메인 클래스에 추가해야 한다.

  • @Schedul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한다.
    cron 표현식을 작성해주면 되는데 위에 작성한 cron표현식은 1초에 한번씩
    updateFirstPostPage() 메서드가 실행된다.

  • 핵심만 간단히 보면 1초마다 첫 번째 페이지의 글 목록을 조회한 후 firstPostPage 필드에 저장하는 것이다.

  • 컨트롤러에서는 요청하는 페이지가 첫 페이지일때 캐시 서비스의 getFirstPostPage() 메서드를 호출하여 처리한다.

지금까지 첫 페이지를 조회하는 요청에대해 캐시처리를 했다.
이제 원격지에 코드 적용 후 jenkin로 배포하자.


7. 원격지에 코드 적용 후 배포하기

7-1. 원격지에 코드 적용

  • 마찬가지로 과정은 설명한다.

7-2. Jenkins로 배포

  • 젠킨스에서 빌드하면 성공적으로 완료 된걸 볼 수 있다.
  • postman으로 요청해서 테스트해보자.

7-3. 테스트

  • 응답이 제대로 오지 않는다.

  • 어제와 같은 현상이다. 배포를 다시 해보자..

  • 배포해도 계속 같은 상황이다. 로컬에서 테스트해보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 코드에 문제가 있는것은 아니다.

  • 그러던 도중 다시 Nginx로 요청 날려보니 갑자기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냥 각 워커 인스턴스에 배포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데 시간이 좀 걸리나보다.
    앞으로는 조금 기다려보자..

  • Nginx 외부 ip 주소로 요청을 날려보면 정상적으로 응답이 오는걸 볼 수 있다.

  • rabbitmq 인스턴스의 외부ip로 접근하고, 15672 포트로 접속해 모니터링 화면을 보면
    메시지가 들어왔다가 빠져나가는 그래프를 볼 수 있다.

8. 마무리

  • 지금까지 io bound 애플리케이션에 RabbitMQ를 적용해 보았다.

  • 다음에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해 적용 전과 후의 차이점을 비교해보자.

Etc)

1. Producer, Consumer 애플리케이션 분리

위에서 RabbitMQ를 적용했을 때는 Producer와 Consumer가 한 애플리케이션에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Producer 애플리케이션과 Consumer 애플리케이션을 분리해서 사용하는게좋다.
아래 처럼 말이다.

사용자 ↔ Producer ↔ RabbitMQ ↔ Consumer

분리 되지 않았을 때와 분리 되었을 때의 가장 큰 차이점은 Consumer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얼마나 까다롭냐이다. 분리된 형태에서는 Consumer를 배포할 때 앞쪽에 RabbitMQ가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Consumer 가 종료되어도 문제 없다.

하지만 분리되지 않은 형태의 경우 Consumer 기능을 배포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무중단 배포를 위한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2. Redis

캐싱 처리는 위 처럼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구현하는 것 보다 주로 Redis를 이용하는게 더 효율적이다.

3. MQ 적용 시 요청 처리 시간 감소?

현재는, 애플리케이션 서버(Producer, Consumer) ↔ MQ 서버 ↔ DB 서버 와 같은 구조이다.
MQ서버를 적용하기 전에는, 애플리케이션 ↔ DB 서버 와 같은 구조이다.

그러면 중간에 MQ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I/O가 늘어나는데 성능에 문제가 없을까?
우리가 MQ를 도입한 이유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아야 한다. 이전 글에서 말했듯이 어떠한 이유가 됬든 사용자가 보낸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여 요청이 유실되는 경우를 방지 할 수 있다.

즉 요청 하나를 처리하는 시간 자체가 빨라진다기 보다는 더 많은 요청이 들어 왔을 때 유실 없이 처리 가능하다.

4. 어떤 상황에 Message Queue를 도입해야 하는가?

주로 비동기적인 작업을 처리할 때 좋다. 즉 사용자가 요청했지만 응답을 받을 필요가 없거나
즉시 받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받을 필요가 없는 경우 : 여러 서버에서 발생한 로그를 쌓는 작업 → 로그를 정상적으로 발송했고, MQ에 넣었다면 그게 어떤 곳에 저장되는지, 저장이 잘 되었는지 클라이언트는 알 필요가 없다.

5. MQ가 하나이고 Consumer가 여러개인 경우 경쟁상태가 발생하는가?

일단 하나의 메시지를 두 개의 Consumer가 동시에 Consume 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내부적으로 그렇게 구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경쟁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6. 메시지를 Consume 하는 주체는 애플리케이션이다.

  1. 애플리케이션은 MQ에서 일정 개수 만큼 Consume 한다.(디폴트 설정은 250개)

  2. 애플리케이션은 Consume한 메시지를 들고있고 DB에 insert 한다.

  3. 메시지 하나를 insert하면 다음 메시지를 Consume 한다.

위 과정이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를 Consume 하고 싶을때 한다. DB에 insert하는 속도가 느리다면 애플리케이션은 Consume을 느리게 할 것이다.

MQ가 애플리케이션에게 강제로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
오해하지 말자 애플리케이션이 주체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