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로 mariaDB 관리하기

이종훈·2025년 4월 20일
2

개발 일지

목록 보기
9/21
post-thumbnail

MariaDB, MySQL

MariaDB와 My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지만 둘은 엄연히 다른 시스템입니다. 각각의 시스템은 기능, 호환성, 저장 엔진 등 다양한 점에서 차이점을 가집니다. 이때 MariaDB는 MySQL의 오픈소스 대안으로, MySQL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CLI로 MariaDB 관리

개요

MariaDB는 MySQL과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Mysql workbench를 사용하여 MariaDB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MySQL 전용 기능을 MariaDB에서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MariaDB의 최신 버전에서는 Mysql workbench의 일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 또한 Mysql workbench를 통해 GUI 방식으로 MariaDB 관리를 자주 했었는데 호환성 문제로 인해 오류가 발생한 적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CLI 방식으로 접근하는 법 또한 제대로 알아야 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Docker로 MariaDB 접근하기

cmd(window)로 docker를 활용하여 mariaDB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1. docker exec -it "DB명" /bin/bash
2. mariadb -u root -p (password)
두 단계를 거치면 해당 mariaDB로 접근합니다.

Show databases: database 스키마를 조회합니다.
USE "특정 스키마" : 스키마로 이동합니다.

DESCRIBE "테이블명" : 테이블 속성을 출력합니다.

ALTER TABLE "테이블명" : 특정 테이블로 이동합니다.
MODIFY COLUMN id INT(11) NOT NULL AUTO_INCREMENT : id column에 int(11), not null, auto_increment 속성을 추가합니다.

FK 연결 해제

다른 테이블과 FK 연결이 되어있는 테이블을 삭제할 시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FK 연결을 일시적으로 해제한 후 삭제하고 다시 연결해줘야 합니다.

SET FOREINGH_KEY_CHECKS = 0;을 통해 FK 연결 해제할 수 있습니다.
SET FOREIGN_KEY_CHECKS = 1;은 FK를 연결합니다.

profile
종훈리의 개발일지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4월 20일

오 CLI 간지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