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S(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라는 말인데, 교차 출처(Cross-Origin) 란 '다른 출처'를 의미하는데, 한국어로 해석해보면, 다른 출처의 자원을 공유하는 정책 이라고 볼
컴퓨터 비전공자로서, 전문성을 늘리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공부 중 MVC, MVVM 패턴을 공부하며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라는 말을 봤습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란 무엇이고, 좋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란 무엇인지에 대해 개인적인 고찰을 기록해봤습니다. 공부하며 참고한 자료는
프롤로그 앞서서 아키텍쳐란 무엇인가를 공부해봤다면 프론트엔드 관점에서 아키텍쳐 패턴을 공부해보자 MVC 패턴 참고 출처: https://velog.io/@teo/%ED%94%84%EB%A1%A0%ED%8A%B8%EC%97%94%EB%93%9C%EC%97%90%EC
use strict 정의 "use strict"는 ECMAScript 5 (ES5)에 도입된 지시어로, 스크립트나 함수가 '엄격 모드(strict mode)'로 실행되도록 한다. '엄격 모드(strict mode)'에서 금지되는 행위들은 암묵적 전역 변수 생성 삭제
JWT(JSON Web Token) 란? JWT(JSON Web Token)란 말그대로 웹에서 사용되는 JSON 형식의 토큰에 대한 표준 규격으로, 주로 사용자의 인증(authentication) 또는 인가(authorization) 정보를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안전
프롤로그 리액트에서 state를 사용하여 상태를 관리하는 이유에 대해 리액트 공식문서를 기준으로 정리해보았다. 더 나아가 그래서 왜 useState 를 쓰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state란 무엇인가 컴포넌트는 상호 작용의 결과로 화면의 내용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많
React에서 성능최적화를 위해 '메모이제이션'을 활용하는 것인데, 대표적으로 useMemo와 useCallback 두 가지 훅이 있다. 메모이제이션을 담당하는 useMemo와 useCallback 이라는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뭐가 있는지 알아보자.메모이제이션(memo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의 정의 > SEO(검색 엔진 최적화) 는 웹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더 잘 노출되도록 최적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같은 콘텐츠도 어떻게 웹 페이지를 만드느냐에 따라서 검색했을 때 노출되는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웹
웹 소켓(WebSocket)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와의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이는 전통적인 HTTP 요청/응답 모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지속적인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웹 소켓은
프롤로그 React 컴포넌트를 만들 때, 클래스형 컴포넌트, 함수형 컴포넌트 2가지 방법이 있다. 구글링을 하면서 찾아본 리액트 예제들만 봐도 함수형이 많은 거 같은데, 그럼 왜 이렇게 흐름이 달라졌을까? 그 이유은 2019 v16.8부터 함수형 컴포넌트에 리액트 훅(
프롤로그 이 내용은 개인학습을 위해 기록했으며, 문제 시 수정하겠습니다! 이진 트리란? 이진트리(Binary Tree)는 트리 중에서도 각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노드를 가질 때 이진트리라고 한다. 최대 2개이기 때문에 자식이 없을 수도 있고, 한개만 있을 수도 있
자료구조 에서 heap이 뭔지, 특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개인 공부개념으로 블로그를 작성했으며, 문제시 수정하겠습니다!힙(heap)은 트리 기반의 자료구조로, 특정한 규칙을 만족하는 완전 이진트리이다. 힙은 주로 우선순위 큐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힙은 최대 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