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에 requests라는 module을 설치했다.방법은 간단했다.pip를 통해 python이 설치된 폴더안에 Scripts라는 폴더가 있는데 여기까지 이동한 후(cd c:\\user\\name\\AppData\\Local\\programs\\Python\\Sc
Python을 새로 시작하면서 처음 겪은 오류는 debugger가 작동을 안하는 것이였다Python을 설치 한 후 Ctrl + F5 or F5를 눌렀는데 작동이 안하는 것.찾아보니 VS Code는 D:에 Python은 C:에 설치해서 발생하는 오류였고Ctrl + Shi
지난시간에 우리는 Primitive tyep에 대해 배웠다. 이번시간에는 Value(값)과 Reference(참조)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자.여기서 우리는 다른 선택지가 존재하였다.a = 50 = b 이므로 a = 10으로 재할당 되었을 때 b또한 update되어 50이
기본적으로 Primitive types에는 Nubmer, String, Boolean, undefined, null, syombol이 있다.여기서는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고 가정하고 코드로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갈 것은 undefined와
Javascript(이하 'js')를 사용하면서 그리고 공부하면서 우리는 수많은 자료들을 접하게되며 js에 대해 끝없는 학습이 필요하다해도 과언이 아니다.하지만 이렇게 막연한 범위가 주어진다면 나를 포함한 목표지향적사람들은 너무 멀리있는 목표에 금방 지치고 겁을 먹게
오늘 우리가 알아볼 정렬방식 그 두번째는 버블정렬(Bubble sort)이다.버블정렬은 어떠한 수들의 배열(array)이 있을 때 자신의 오른쪽(혹은 왼쪽)에 있는 값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어 정렬하는 방식이다.여기서 앞으로 보낸다는 뜻은 비교된 두 값 중
알고리즘은 어떤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절차이며 컴퓨터 언어에서는 이 알고리즘은 굉장히 중요하며 유용하다.하지만 알고리즘을 이해하려면 컴퓨터적 사고방식(Computational Thinking)은 필수이다.우리의 언어, 생각 등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달해야
JavaScript(이하 'js')는 동적 인터프리터 프로그래밍 언어이기 때문에 다른 전통적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구문이 다르다.이처럼 이번 글에서는 js만의 독특한 특징들을 알아보도록 하자.지난번 글에서 유효범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다.자세한 내용을 알고
JavaScript(이하 'js')에서는 여러가지 문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for, if...else, while 등이 있고, var, let, const 라는 Declaration keyword가 있다.오늘은 그 중에서 return Statement에 대해 알아보도록
빅오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최악의 경우 복잡도를 측정하는 기법이다.보통 O(n)과 같이 표기하며 여기서 n은 입력의 개수를 의미한다.따라서 n이 무한으로 접근할 때 무슨일이 일어날까?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일반적인 빅오 복잡도의 모습이다.고등학교 수학에서 흔히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