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낙 프로젝트 기간이 길기도 했고
아직도 진행형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글로 나뉘고 또 계속 업데이트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읽다 보면 여러 잡지식을 반드시 얻어갈 것으로 생각한다!!
또 네트워크를 겉만 핥는 수준이기 때문에 전공자들이 보면 내 구성이 매우 이상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추후 보완해가면서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라고 생각한다!
사실 허브랙을 들여온지는 두달 조금 안된 것 같다.
바로 전 글의 사진처럼 스테인리스 책상 위에 장비들을 올려놓고 쓰다가
소중한 라즈베리파이 4 컴퓨트모듈을 쇼트로 태운 후..
스테인리스 책상을 벗어나고싶은 욕망이 컸다!
집에서 서버랙을 구성하는 분들도 계시던데
아무리 생각해도 추후 이사나 기타 면에서.. 서버랙은 영 아닌거같아서
허브랙을 구매했다.
15U짜리를 살까 하다가, 무난하게 적당한 9U짜리를 선택했다!
또 IPECS의 19인치 표준랙 48포트 스위치도 저렴하게 업어왔다.
이렇게 지금까지 NAS, 하드, 라즈베리파이, 맥미니, 허브랙, 스위치 등으로 200만원 좀 안되게 썼다.
사실 저렇게 48포트같이 네트워크 통신이 많고 다량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스위치는 발열이 엄청나다!
그래서 저런 스위치에는 팬이 달려있는데.. 문제는 그 팬이 서버용 블로워팬이라 가정에서 운용하기엔 굉장히 시끄럽다!
필자는 4개의 블로워팬이 달린 서버를 사고 딱 한시간 켜보고 창고로 보내버린 경험이 있어서 상당히 악몽이었다.
그래서 처음엔 임시로 넥시의 8포트 기가비트 스위칭허브를 사용했는데.. 아무래도 언매니지드다보니 QoS, Port Security, VLAN 등의 구성이 어려워서 몇일 쓰다가
과감하게 48포트 스위치의 팬을 뽑아버렸다. 그 후로 120mm 팬을 하나 사서 라즈베리파이 피코에 연결해 외부에 달아주었다.
다행히 스로틀링과 같은 대참사는 발생하지 않더라.
어쨌든 지금은 48포트를 사용하는 중인데, 저 당시에는 8포트 스위치를 사용했기에 랜선 길이를 정말 절묘하게 잘 맞춰야 했다.
RJ45 커플러는 정말 사용을 꺼려했다. 한번씩 아예 통신이 뻑가던 경우들이 있었어서..
그래서 그냥 100m 랜선과 각부트, 랜커넥터, 랜툴을 사서 직접 만들어 쓰기로 했다. 닌 이 선택을 지금 매우 후회한다. ㅎㅎ 왜냐? 처음에 어려워서 죽는줄 알았다. 그리고 처음엔 재밌는데 랜선 20개씩 만들다보면 이게 강제노역인가 싶은 순간이 찾아온다.
그래도 덕분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허브랙 내 토폴로지를 그려보면 저정도다.
초기엔 저 LG 48-Port Managed가 8포트 스위치인 점 빼곤 모두 동일하다.
설명하자면 NAS는 외부망과 2.5Gbps 회선으로 다이렉트로 연결되어서, 외부 환경만 좋다면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물론 보안적으론 상당히 취약한 구조다.
또 1Gbps 내부망 두개를 안정적인 대역폭을 위해 링크어그레션으로 묶어놓았다. 다만 솔직히 내부망 내의 링크어그레션은 별차이를 모르겠어서 SMB 멀티채널로 조만간 방식을 변경할 것 같긴 하다.
그 외에 맥미니, 라즈베리파이, 메인PC, 서브PC는 1Gbps 속도로 라우터 내 모든 내부망 기기에 액세스가 가능하다.
다만 메인PC는 2.5Gbps 외부망 회선이 연결되어 있다.
아마 다음 글은 라우터 설정이나 스위치 콘솔 액세스 글, 그 후는 2차 허브랙 구성?? 이 아닐까 싶다.
사실 프로토타입과 허브랙 사이에 뭔가 다른 시도가 있었던 것 같은데, 사실 잘 기억이 안난다.. 😅
지금은 SMB 멀티채널을 위해 시스코 카탈리스트 스위치를 구매해놓고 기다리는 중이다.
사실 쓰고 싶은 내용이 많은데 자꾸 까먹는것 같다.
생각나는대로 많이많이 써보겠다!!
0.60 윈도우PC 네트워크 설정은 어떻게 하셨나요? 포트도 부족하고 어댑터 설정도 해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하셨는 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