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페이지를 만들 때 브라우저는 HTML을 body, img 태그 등을 분석해서 노드로 변환한다.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과정으로 바꿔나간다.

Node는 사진 상 보이지는 않지만 부모 요소로 EventTarget 요소를 지니고 있다. HTML과 마찬가지로 자식요소들을 수 없이 많이 가지고 있고 이 것들을 따라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우저가 HTML을 읽을 때 사진과 같은 DOM Tree 구조로 변환하여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과증올 변환하게 된다.
즉, HTML 파일을 브라우저에서 읽으면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에 보관할 수 있는 Object로 맵핑하게 된다.

DOM Tree와 마찬가지로 body태그는 자식 태그들을 가지고 있다. 다만 상단의 태그가 css가 적용이 되면 그 자식태그들은 같은 css가 적용이 된다. 마찬가지로 이 것이 화면에 그려지게 된다.

먼저 브라우저가 DOM Tree를 형성하여 화면을 그리게 되고 CSSOM의 css 변환 요소에 맞춰 그림을 그린다. 그리고 바뀌어진 부분을 합쳐 화면에 렌더링이 된다.
시각자료와 구체적인 부분까지 작성해서 보기 좋습니다!
다만 면접 때 말로 어떻게 풀어서 설명할지 스크립트처럼 정리하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