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페이지를 만들 때 브라우저는 HTML을 body, img 태그 등을 분석해서 노드로 변환한다.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과정으로 바꿔나간다.Node는 사진 상 보이지는 않지만 부모 요소로 EventTarget 요소를 지니고 있다. HTML과 마찬가지로 자식요소들을
REST란 HTTP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리소스에 접근하는 방식을 규정한 아키텍처. REST API는 REST를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이다.리소스에서 모든 데이터를 취득한다.리소스에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한다.PUT은 특정 리소스 전체를 교체할 때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는 것은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에러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프로그램의 흐름상 맞지 않을뿐더러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오류를 발생시
함수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값을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로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개변수(parameter)를 통해 인수(argument)를 전달한다. 인수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여야 한다. 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하며, 갯수와 타입에 제한이 없
통상적으로 프레임워크는 무언가 만드는 모든 것들이 제공된 것이라 보면 좋다. UI 뿐만 아니라 라우팅,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HTTP clinets, 많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State management까지 모든 것들이 다 들어있다. 집을 짓는 거로 비유하면 집을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놓는 임시 장소.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접근 할 수 있다.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의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혹은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자 하는 경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할 의무가 있기에 정보 보안에 무척 민감하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로그인한 정보를 다른 브라우저 탭에서 쉽게 정보를 접근해 빼내간다면 상당히 위험할 것이고 그러한 브라우저가 있다면 사용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어떤 웹 API는 사용자의 권한
CSS position 속성은 문서 상에 요소를 배치하는 방법을 지정한다. top, right, bottom, left 등의 속성이 요소를 배치할 최종 위치를 결정한다.요소를 일반적인 문서에 흐름에 따라 배치한다. top, right, bottom, left 속성에 아
대부분 this의 값은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실행중에는 할당으로 설정할 수 없고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다를 수 있다. ES5에서는 함수를 어떻게 호출했는지 상관하지 않고 this 값을 설정할 수 있는 bind메서드를 도입했고, ES2015는 스스로 t
웹 스토리지 객체인 LocalStorage, SessionStorage는 브라우저 내에 키-값 쌍을 저장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둘을 이용하면 페이지를 새로고침하고, 브라우저를 다시 실행 해도 (LocalStroage의 경우)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쿠키를
기본적으로 require와 import는 모듈 키워드다. 외부 파일이나 라이브러리를 불러올 때 사용한다.require는 NodeJs에서 사용되고 있는 CommonJS 키워드이고, import는 ES2015에서 새롭게 도입된 키워드. 둘다 다른 파일의 코드를 불러온다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타입은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나뉘게 되어 있다. 원시 타입은 메모리 주소에 값을 할당하고 거기에 변수명을 붙여주는 방식. 값이 변경 되면 메모리 값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메모리 값에 새로운 값을 할당한다.그에 반해 객체 타입은 원시 타입
외부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동일한 인자에 대해 항상 똑같은 값을 리턴하는 함수.동일한 인자가 들어갈 경우 항상 같은 값이 나와야 한다.부수적인 효과가 일어나면 안된다.return 값으로만 소통한다.순수함수는 평가 시점이 중요하지 않다.순수 함수는 입력값만을 가지고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전달되는 데이터.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받는 데이터이므로 자식 컴포넌트에서는 변경 할 수 없다. 이는 컴포넌트의 속성과 같다.한 컴포넌트 안에서 유동적인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되며, 컴포넌트 안에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sta

인터넷의 발전으로 방대한 웹 문서가 생기면서 제각기 일관적이지 않은 문서 구조는 원하는 정보를 찾기 힘들어지는 원인이었다. div태그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block element이면서 사이트의 구조(레이아웃)을 설계하기 위한 태그.HTML의 구조를 설계하는데에 있어 의
Redux 상태관리의 주요 개념들과 연결 관계를 설명해주세요. 다른 상태관리 도구와 비교 설명 해주세요 redux 리덕스란 전역 상태관리를 위한 도구. 각각의 컴포넌트에서 state를 직접 관리 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컨트롤 타워에서 전담하여 다루게 된다. 이때 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