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Ch 4. Thread

jjjjjju·2023년 6월 28일
0

Operating System

목록 보기
6/7
post-thumbnail

현대의 computer system은 기본적으로 Multi-threaded programing 지원

✔︎ process

  • 독립적으로 구색을 다 갖춘 수행주체
  • IPC도 고려해야 함.
  • context switching 할 때 overhead하느라 낭비 많음.

✔︎ thread

  • process의 약식으로 구성된 수행 줄기
  • 만든 이유: 일을 병렬화로 진행하고 싶은데 process를 생성하려면 필요한 것들이 너무 많음 → 적은 일을 수행하기 위해 간단한 줄기를 만듦.

📍 Thread

: light-weigth process (LWP)

  • 정식 process에 비해서 간결 → 생성속도 빠름
  • multi thread에서 각 thread는 고유의
    • thread

    • PC (Programing Counter)

    • register set

    • stack (함수에 관련된 걸 저장) → 함수 접근 가능

      를 유지

  • 동일 process에 속한 다른 thread와
    • code section

    • data section

    • 기타 OS resource

      를 공유

✅ 이점

  1. responsiveness (응답 특성이 좋아짐)
  • interactive system (대화형)에서 한 수행이 block되더라도 나머지 부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 ex. 다른 기능도 멈춰버리면 X
  1. resource sharing 종류

    : 동일 process에 속한 resource 공유

  1. Economy (경제성)

    : 비용이 적게 든다 (= 시간적, 공간적 유리)

  • 정식 process보다 속도 (context, 생성 switching) 빠름
  1. scalability (확장성)

    : multi-processor architecture에 활용 가능

  • 규모의 확장이 용이함
  • thread마다 CPU가 다 다름
  • single thread에 비하여 이런 장점이 있음

✅ 1. User thread

  • kernel이 user thread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음
  • kernel의 지원을 받지 않는 thread → 하나 끊기면 다 끊김
  • user level 상에서만 돌아감
    • user level에서 thread scheduling을 지원해서 OS는 이 존재를 알지 못함.
  • OS의 지원을 받지 않음
  • 생성 빠름 (kernel thread보다)

✅ 2. kernel thread

  • OS가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thread
  • 실질적으로 context switching이 일어남.
  • multi processor에 적용 용이
  • 한 개의 thread가 block 되어도 다른 thread는 수행을 계속할 수 있음

✅ single thread process vs multi thread process

  • single thread process
    • 수행 줄기가 하나
  • multi thread process
    • 수행 줄기가 여러 개
    • register, stack이 별도로 있음

✅ libraries

1. kernel support 없이 user space 상에 두는 Library

  • 함수의 실행이 user space의 local funtion으로 고려
  • 모든 code와 data structure가 user space에 존재
    • user space: system space funtion space

2. OS의 지원을 받는 kernel level library

  • code와 data structure가 kernle space에
  • 함수의 실행은 system call로써 이루어짐

✅ implict threading

: programmer가 threading을 하기 위해서 task를 나누고 process간 comm 등을 처리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언어에서 자동으로 threading 기능 지원

  • 암묵적/묵시적 threading

방법 1. thread pool

: 일정 갯수의 thread를 미리 만들어 두는 것

  • servel가 일정 갯수의 thread를 사전에 미리 만들어 놓고 각 thread는 작업이 주어지기를 기다림
  • 장점
    • 실제 작업이 주어졌을 때 thread를 생성하는 시간이 필요 없어짐 (이미 만들어져있음)
    • system의 thread 총 갯수 제어가 용이
    • task 수행의 다양한 전략이 가능함.
  • thread pool의 적정 thread 수는
    • CPU 갯수

    • memory 용량

    • 예상 요청 갯수

      를 고려해서 만든다

방법 2. Open MP (multi-Processing)

  • compiler directive 형태로 지원하는 paraller processing 형식
    • compiler directive : compiler만 이해하는 process 명령
    • directive : pre process
      • ex. comment 제거, #include (in C) 등
    • paraller processing 의미 : 동시수행

✅ thread issues (고려사항)

  • multi threaded program이 process 생성 명령을 수행하면
    • 모든 thread를 중복 생성

    • new process는 single thread로

      ➠ 이미 수행 줄기가 2개인데 다시 생성하라고 하면, 모두 중복 || 새로운 거 하나 생성 택 1

  • signal handling
    • signal: unix에서 process에 어떤 event 발생 상황을 알림
    • synchronous (동기적) signal: 발생되는 시점이 명확한 것
      • illegal memory access

      • division by 0

        ➠ 이 때 신호를 발생시켜서 처리하도록 하는!

    • asynchronous signla : 외부 event에 의해 생성
      • ex. contrl - C (강제 종료)
  • signal handler
    • 1) default signal handler
    • 2) user-defined signal handler

✅ thread canellatin (thread 취소, 종료)

: 완료되지 않은 thread를 종료시키는 개념

  1. asynchronous

    : 종료가 필요한 시점에 즉각 한 thread가 다른 한 target thread를 종료시키는

    • 수행 시점이 돌발적인
  2. deffered

    : target thread가 스스로 주기적으로 자신이 종료해야 하는지 check하고 소정의 종료 절차(resource 처리)를 수행하는 개념

  • 1번에 비해 2번의 장점 = 안전 (system의 resource)
  • 2번에 비해 1번의 장점 = 즉각 반응 가능

✅ Thread Local Storage (TLS)

: thread가 갖는 자신만의 저장 장치, thread마다 고유하게 저장되는 저장공간

  • 자신만의 작은 저장 공간
  • 각자 고유한 data 복사본을 가질 수 있다.
  • thread는 원 process의 data section 공유 → 상황에 따라 어떤 data에 의하여 자신만의 copy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 thread pool에서 유용하다
  • static data와 유사

✅ Scheduler Activations

: application내에서 kernle thread의 수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줌.

LWP

: 경량화 process

  • user thread와 kernel thread 사이에서 CPU 역할을 해줌
  • processor가 아니지만 processor처럼 보이는 수행을 함

✏️ 용어정리

✔︎ multi-processor

  • CPU가 여러 개

✔︎ multi-process

: 한 program 내에서 process가 여러 개

  • 여러 개의 process 동시 실행
  • 독립적인 공간이 있음 (text, data, stack 영역, heap 영역)
  •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음 (영향을 미치려면 IPC 고려해야 함)

✔︎ multi-thread

  • thread 여러 개 process안에서 수행 줄기
  • 수행 흐름 독립적
  • 공유 편함
  • 한 process 내에서 thread 여러 개
  • 자원은 process 안에서 공유 중

📍 multi-core

: CPU 안에 칩이 여러 개 있는 것

  • processor = 일꾼, core = 일꾼의 팔

✅ multi core를 활용하는 programming을 위하여 필요한 내용

  1. Dviding activity

    : 작업을 여러 개의 current task로 분할하여 각 core에서 실행하도록 고려해야 함

  2. Balance

    : 병렬처리가 의미가 있도록

    • 작업을 여러 개로 분할하고 한 명에게 몰아주면 병렬처리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balance에 맞게 분할을 해야 함.
  3. data splitting (data 쪼개기)

    : 각 core에서 실행할 data 분리

  4. data dependency

    : task의 종속성

  5. testing & debugging

    : single CPU에 비해서 복잡해짐 (b/c. execution path가 복잡해짐)

✅ Multi-core Programming

  • parallelism (병렬수행)

    : 실제 동시수행 (Multi CPU)

    • Data paralleism
    • Task paralleism (작업별 분리)
      • core에 어떤 걸 연결 시킬지
  • concurrency (동시수행)

    : 여러 개의 수행 흐름이 동시수행 (소프트웨어 적으로)

    • 진행중인 2개 이상의 작업을 지원

✅ core를 여러 개 둠으로써 얻어지는 성능 개선 효과

  • AMDAHL의 법칙

📍 multi threading Model

1. many to one

: user 많이 kernle 하나

  • n 개의 user thread가 하나의 kernel thread에 mapping
  • user 입장에서는 여러 개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한 개의 thread
  • kernel에서는 multi-thread를 인지하지 못함
    •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multi-thread처럼 보임
    • os는 kernel thread만 관리하니까 os에서는 하나의 kernel thread만 인지한다는 뜻
    • 여러개의 user thread를 인지하지 못합니당
  • 장점
    • 생성이 빠르다 (b/c. thread하나만 생성을 하면 되기 때문)
  • 단점
    • 한 개 thread가 block되면 전체가 block 됨

2. one to one

: user thread와 kernel thread가 1:1 mapping

  • many-to-one에 비해 concurrency(동시수행)가 개선됨
  • 단점
    • OS가 관리해야 할 thread가 증가

3. many-to-many

: 여러 개의 user

  • 장점
    • 한 개의 thread가 block 되어도 진행 가능
  • 단점
    • 생성하기 어려움

+) two level model

  • many-to-many로 하면서 one-to-one도 허용해주는
  • many-to-many로 수행을 하되, one-to-one도 허용!

📍 Thread libraries

: programmer가 thread를 생성

방법 1 (언어 level 지원)

  • kernel support 없이 user space 상에 두는 library
    • system call 아님.
    • 언어에서 지원
    • 모든 code와 data structure가 user space 상에 존재
      • user space : system space, function space
    • function의 실행이 user space의 local function으로 고려

방법 2 (system level 지원)

  • OS의 지원을 받는 kernel level library
  • code와 data structure가 kernel space에
  • 함수의 실행은 system call로써 이루어짐

📍implict threading

: programmer가 task를 나누고 process 간 commnication 등을 처리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언어에서 자동으로 threading 기능 지원

▪︎ thread pool

: server가 일정 개수의 thread를 사전에 미리 만들어놓고 각 thread는 작업이 주어지기를 기다림

→ 일정 개수를 미리 생성해두는 것.

▫︎ 이점

  1. 효율적이다

    b/c. request를 처리할 때 새롭게 생성하지 않으므로 속도가 빠르다.

  2. system thread 총 개수 제어가 용이

    1. b/c. 미리 몇 개 만들어두면 그 이상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
  3. task 수행 관련한 다양한 전략이 가능

    b/c. thread를 생성하는 과정과, 실행될 task를 결정하는 과정이 분리되므로 다양한 전략이 가능하다 (ex. 일정 시간 지연 후 실행, 주기적 실행)

▫︎ thread pool의 적정 thread 수를 위해 고려해야 하는 것들

  • CPU 갯수
  • memory 용량 (여러개 동시 수행하면 memory 많이 필요하기 때문)
  • 예상 요청 갯수

📍 Open MP (multi processing)

  • compiler directive 형태로 지원하는 paraller processing 형식
    • compiler directive : compiler만 이해하는 process 명령
      • directive : pre processing
    • paraller processing = 동시수행

📍 Thread issues (고려사항)

1. multi-threaded program이 process 명령을 수행하면

  1. 모든 thread를 중복 생성
  2. new process는 single thread로
    • 이미 2줄기 수행중인데 다시 생성하라고 하면, 다 중복할 것이냐, 새로운 거 하나 생성할것이냐

2. signal handling

  • signal : unix에서 process에 어떤 event 발생을 앙ㄹ림
    • synchronous signal
      • illegal memory access
      • division
    • asynchronous signal
      • 외부 event에 의해 생성 (ex. control-C)

3. signla handler

  1. default signal handler

    • 상황에 맞춰서 적용되는 방법을 달리할때
  2. user-defined signal handler

    : signa이 발생했을 때 수행되는 action을 user가 정의한 내용으로 overriding 가능

    • 어떤 기능을 내가 정리한 내용대로 덮어버리는

📍 thread cancellation (= thread취소, thread 종료)

: 완료되지 않은 thread를 종료시키는 개념

형식1. asynchronous cancellation

: 종료가 필요한 시점에 즉각 한 thread가 다른 target thread를 종료시키는

  • 비동기 (수행시점이 논리에 근거하지 않는, 돌발적인)

형식2. deffered cancellation

: target thread가 스스로 주기적으로 자신이 종료해야 하는지 check하고 소정의 종료 절차(resource처리)를 수행하는 개념

  • 취소를 안 하고 바로 점검

  • 1번에 비해 2번의 장점 = 안전 (system resource)

  • 2번에 비해 1번의 장점 = 즉각 반응 가능


📍 thread local storage (TLS)

: thread가 갖는 자신만의 저장 장치 (고유한 data 복사본)

  • thread는 원 process의 data section 공유 → 상황에 따라 어떤 data에 의하여 자신만의 copy를 유지할 필요가 있음.
  • 각자 고유한 data를 가질 수 있다는 의미
profile
코딩의 습관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