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 A가 있다고 할 때,
즉, 대칭 행렬은 항상 대각화가 가능하고, 이 대각화 과정으로 복잡한 행렬을 더 간단한 형태로 변환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직교 기저는 공간의 모든 벡터가 서로 직각(90도)으로 이루어진 기저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2차원 공간에서의 직교 기저는 (1,0)과 (0,1)과 같은 벡터 쌍입니다.
대칭 행렬 A가 다음과 같다고 할 때,

행렬 A의 고유 값을 구하기 위해 다음 식을 사용합니다.
det(A−𝜆I)=0
이를 계산하면 고유 값이
𝜆1=5와 𝜆2=2로 나오고, 고유 벡터를 각각 구해보면

가 됩니다.
고유벡터 v1과 v2가 직교하는지 확인합니다.

두 벡터를 내적한 값이 0이 아니므로, 직교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직교하지 않으면, 벡터들을 정규화하여 직교 기저를 구합니다.
아래와 같이 직교 기저를 구했다고 가정했을 때,

직교 기저와 고유값을 가지고 P와 D를 구성할 수 있고,
P와D를 가지고 행렬 A를 A=PxD의 형태로 대각화할 수 있습니다.

행렬 A의 고유값 집합을 A의 스펙트럼이라고 부릅니다.
A가 대칭 행렬이라면, 다음과 같은 성질을 따릅니다.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