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시간은 또 흘러 벌써 7월 초. 6월 회고를 쓰려고 하니, 6월에 뭐 했는지가 기억 나지 않는다. 기억력이 나빠진 건지? 아니면 그만큼 정신없이 보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기록은 늘 기억을 앞선다.

Javasript를 공부하자

YouTube에는 6월 한달간 Javascript 공부 기록이 남아있다.
그동안에는 CSSHTML에 대한 공부를 집중적으로 했었다. 그러다 Javascript로 공부 방향을 변경한 건, 김종민 님의 영상 ‘인터랙티브 디벨로퍼의 커리어 패스와 공부 방향’을 본 후였다. 종민님의 개인작업을 보고 종민님과 같은 작업을 하려면 HTMLCSS를 깊게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종민님은 Javascript를 깊게 알아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종민님의 해당 영상을 간단히 요약하면,
첫째, 현재 Interactive Developer라는 직군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Front-end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Javascript에 능숙 해져야 한다.
셋째, CSSHTML에 모르는 부분은 나중에 찾아보면 된다.

Javascript 공부는 엘리와 함께

그 이후 ‘드림코딩 by 엘리’의 영상을 꾸준히 시청하고 따라 했다.
먼저, 반응형 헤더 만들기 영상을 보고 최대한 복기하며 코딩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공부해온 HTMLCSS를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예전에는 화면을 보면서 따라서 쳤다면 지금은 영상을 한번 보고 화면을 분석하며 최대한 생각하며 구현하려 했다. 그랬더니 뭔가 자신감이 붙더라. ‘왠지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또 다른 영상YouTube 클론 코딩은 힌트만 보고 혼자서 해보는 방식을 택했다. 비슷하게 해냈는데 나중에 확인해 보니 꽤 잘 못된 점이 많았다. 크게 영역을 나누어, <DIV>를 잡는 방식에 아직 난 미숙하다. HTML을 구조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Javascript 강의 영상을 차례차례 이해될 때까지 보았다. Java를 익힌 경험 때문인지 개념이 어렵지는 않았지만, 문제는 문법이 익숙하지 않다는 것. 축약형이 들어가면 어떻게 코드를 읽어야 할지 감을 잡지 못했다. 지금 6월회고를 작성하는 시점에 async/await까지 모든 걸 끝마쳤다. 다음에는 드림코딩 ‘쇼핑몰 미니게임 & 코드리뷰’강의를 들어보려고 한다.

한 눈 팔지 말고 꾸준히!

주 언어를 Javascript로 바꾸고, React에 익숙해 질 때까지 한눈 팔지 말자!! 그리고 ‘프레임워크 없는 프론트엔드 개발’ 책을 한권 정독하자!! 그러면, 난 또다른 어디인가에 가 있겠지! 그때 옆을 돌아보는 걸로!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