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의 생김새가 시각화, 해석, 통계모델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떄문에 데이터 종류를 분류하는건 중요!
마케터가 하는일 : 데이터의 종류 이해 > 관련 분석을 어떤식으로 수행할지 결정

수치형
숫자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ex) 체중, 신장, 사고 건수, 일 방문자 수
- 연속형 : 일정 범위 안에서 어떤 값이든 취할 수 있는 데이터 ex) 체중 신장
- 이산형 : 정수형 값만 취할 수 있는 데이터 ex) 사고 건수, 일 방문자 수
=> 소수점의 의미가 없는 데이터( 🧡수치형 데이터와의 차이점 )
범주형
정해진 선택지 중에서만 고를 수 있는 데이터
= 값이 달라짐에 따라 좋거나 나쁘다고 할 수 없는 데이터
ex) 나라,도시, 혈액형, 성공여부 , 등수, mbti
- 이진형 : 두개의 값만을 가지는 범주형 데이터의 특수한 경우
ex) 0과1,예/아니오,참/거짓- 순서형 : 값들 사이에 분명한 순위가 있는 데이터
ex) 등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