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agnusdei·2025년 9월 4일
0

ICT

목록 보기
100/143

1. 개요 (Overview)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계 간 통신)**은 사람의 개입 없이 기계(디바이스, 센서, 장비)들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자동으로 교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분석·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즉,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핵심 전 단계 기술로서, 센싱 → 통신 → 제어 과정을 자동화하여 효율성·생산성·신뢰성을 극대화합니다.


2. M2M의 주요 특성 (Characteristics)

  1. 자동화(Automation)

    • 사람의 개입 없이 센서·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및 동작 수행
  2. 원격 모니터링(Remote Monitoring)

    • 장치 상태·데이터를 원격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3. 양방향 통신(Bidirectional Communication)

    • 단순 데이터 수집뿐 아니라 원격 제어 및 업데이트 가능
  4. 대규모 확장성(Scalability)

    • 수천~수백만 단말기의 동시 연결 지원
  5. 신뢰성(Reliability)

    • 산업·의료 등 안전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 통신 보장

3. M2M의 기본 구성 요소 (Core Components)

  1. 디바이스 계층(Device Layer)

    • 센서, 액추에이터, 기계 장치
    • 예: 스마트 미터, 차량 단말기, 의료기기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데이터 전달을 위한 유·무선 통신 인프라
    • 기술: GSM, LTE, 5G, Wi-SUN, ZigBee, LoRa, NB-IoT 등
  3. 플랫폼/서비스 계층(Service Platform Layer)

    • 수집된 데이터 저장·분석·처리
    • 클라우드, 빅데이터, AI 기반 서비스 제공
  4.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산업/도메인별 M2M 서비스 구현
    • 예: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홈, 헬스케어, 교통 관리

4. M2M과 IoT의 관계

  • M2M: 기계 간 단순 데이터 교환 및 제어 중심
  • IoT: M2M을 포함하여, 클라우드·AI·빅데이터와 결합된 지능형 서비스 플랫폼
  • 즉, IoT는 M2M의 진화된 개념으로 이해 가능

5. 활용 분야 (Applications)

  1. 스마트 그리드: 원격 검침, 부하 제어
  2. 스마트 팩토리: 설비 상태 모니터링, 예지 보전(Predictive Maintenance)
  3. 스마트 모빌리티: 차량 간 통신(V2V), 교통 관리
  4. 스마트 헬스케어: 원격 환자 모니터링, 웨어러블 기기
  5. 스마트 시티: 가로등, 주차, 환경 센서 관리

6. 기술사 수준 결론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계 간 통신)**은

  • 센서·디바이스 → 네트워크 → 플랫폼 → 응용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 자동화·원격 모니터링·양방향 통신·확장성·신뢰성을 핵심 특성으로 합니다.

이는 IoT의 기반 기술로서, 향후 5G/6G·AI·엣지 컴퓨팅·블록체인과 결합하여 지능형 산업·스마트 시티 구현의 핵심 인프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