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agnusdei·2025년 9월 4일
0

ICT

목록 보기
99/143

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개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람·사물·공간·데이터가 상호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공유·분석·활용하는 지능형 인프라를 의미합니다.
즉, 센서와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 세계의 사물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ICT 융합 기술입니다.


2. 사물인터넷의 주요 특성 (Characteristics)

  1. 지능성(Intelligence)

    • 센서와 인공지능(AI)을 통해 데이터 분석·의사결정 가능
  2. 자율성(Autonomy)

    • 인간 개입 최소화, 자율 동작(예: 스마트 홈 기기 자동 제어)
  3. 연결성(Connectivity)

    • IPv6, 5G, Wi-SUN, LPWAN 등 네트워크 기반의 글로벌 연결
  4.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 이기종 기기 및 플랫폼 간 연동 가능해야 함
  5. 실시간성(Real-time Capability)

    • 센서 데이터 수집 및 제어를 실시간 수행
  6. 규모 확장성(Scalability)

    • 수십억 개 디바이스까지 확장 가능한 구조
  7. 보안성(Security)

    • 개인정보·산업 데이터 보호, 사이버 공격 대응 필요

3. 사물인터넷의 기본 구성 요소 (Core Components)

  1. 센싱(Sensing Layer, 인식 계층)

    • 센서·RFID·카메라 등을 통해 현실 세계의 물리적 데이터를 수집
    • 예: 온도·습도 센서, 위치 추적기, 영상 센서
  2. 네트워크(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 유·무선 통신 기술: Wi-Fi, Bluetooth, ZigBee, Wi-SUN, LoRa, NB-IoT, 5G 등
  3. 데이터 처리(Processing Layer, 플랫폼 계층)

    • 게이트웨이·클라우드·엣지 컴퓨팅 기반으로 데이터 저장·분석·처리
    • 빅데이터·인공지능 기술과 연계
  4. 응용(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 사용자 또는 기업이 활용하는 서비스
    • 스마트 홈,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스마트 헬스케어 등
  5. 보안 및 관리(Management & Security Layer, 관리·보안 계층)

    • 인증·암호화·접근제어를 통한 안전성 확보
    • 디바이스 관리, OTA(Over-The-Air) 업데이트 지원

4. 결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센서 → 네트워크 → 데이터 처리 → 응용 서비스의 계층 구조를 가지며,
지능성, 자율성, 연결성, 확장성, 보안성을 핵심 특성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입니다.

따라서 IoT는 단순 연결을 넘어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가치 창출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AI·블록체인·디지털 트윈·5G/6G와 결합하여 초지능형 사회를 실현할 것입니다.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