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인터넷 기반의 IT 자원(서버, 저장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하고 관리하는 컴퓨팅 방식이다.
즉, 사용자는 물리적인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필요한 만큼(pay-as-you-go)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된다.
📌 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공유 컴퓨팅 자원의 온디맨드(self-service) 네트워크 접근 모델”**로 정의함.
구분 | 설명 |
---|---|
On-demand self-service | 사용자가 필요한 자원을 직접 요청하고 즉시 사용 가능 |
Broad network access | 다양한 장치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 |
Resource pooling | 다수 사용자가 물리적 자원을 공유 (멀티 테넌시 기반) |
Rapid elasticity | 수요에 따라 자원을 빠르게 확장 또는 축소 가능 |
Measured service | 사용량 기반 과금 (metering, 과금 최적화 가능) |
🔁 참고: FaaS(Function as a Service), DBaaS(Database as a Service), AIaaS(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ervice) 등 세분화된 서비스도 있음
모델 | 설명 | 예시 |
---|---|---|
Public Cloud | 누구나 접근 가능한 공용 클라우드 (AWS, GCP, Azure 등) | 일반 기업, 스타트업 |
Private Cloud | 기업 내부 전용 클라우드 | 금융기관, 보안 민감 기업 |
Hybrid Cloud | Public + Private 혼합 | 기업 내부 시스템 + 외부 확장 |
Community Cloud | 비슷한 목적의 조직끼리 공유 | 공공기관 간 협업 클라우드 |
구분 | 설명 |
---|---|
데이터 보호 | 암호화(Encryption), 접근 제어, 백업 필수 |
식별 및 인증 |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체계 구축 |
가상화 보안 | 하이퍼바이저 보안, VM 간 격리 |
감사 및 로깅 | 사용 이력, 접근 로그 모니터링 필요 |
컴플라이언스 | ISO/IEC 27001, GDPR 등 인증/규정 준수 |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인프라의 소유에서 서비스화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비용 효율성, 유연성, 빠른 시장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AI, 빅데이터,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기술사 관점에서는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시 비용-보안-성능 간 트레이드오프, 멀티 클라우드 전략, 컴플라이언스 대응 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능력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