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2
5 - 2
>> 3
10 * 3
>> 30
10 / 2
>> 5.0
2 ** 4
>> 16
13 % 5
>> 2
bin(16)
>> '0b10000'
oct(16)
>> '0o20'
hex(16)
>> '0x10'
| 논리 연산자 | 의미 | 예시 | 설명 |
|---|---|---|---|
| and ( & ) | 논리곱 | A and B | A와 B 모두 참일 때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 or ( | ) | 논리합 | A or B | A와 B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둘 다 거짓이면 거짓 |
| xor ( ^ ) | 배타적 논리합 | A xor B | A와 B의 값이 다르면 참, 같으면 거짓 |
| not | 논리 부정 | not A | A가 참이면 거짓이고, 거짓이면 참 |
| 비교 연산자 | 의미 | 예시 | 설명 |
|---|---|---|---|
| == | 같다 | a = b | a는 b와 같다 |
| != | 같지 않다 | a!= b | a는 b와 같지 않다 |
| < | 작다(미만) | a < b | a는 b보다 작다 |
| > | 크다(초과) | a > b | a는 b보다 크다 |
| <= | 작거나 같다(이하) | a <= b |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 |
| >= | 크거나 같다(이상) | a>= b |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
print(5 < 3)
>> False
변수는 일일이 숫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등호(=)를 이용해 변수에 자료를 넣을 수 있다.
a = 'Enjoy'
b = ' python!'
c = a + b
print(c)
>> Enjoy python!
변수 c를 사용하지 않아도 print( a + b )로 같은 값을 출력할 수 있다.
print( a * 3 )
>> Enjoy Enjoy Enj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