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파이썬 변수와 자료형 (List, Tuple, Set, Dict)

AhnHz·2023년 11월 25일
0

Python 기초

목록 보기
2/8
post-thumbnail

변수 (Variable)

  • 문자형
  • 숫자형 - 정수(int), 실수(float)
  • 논리형(bool) - True, False



1. 리스트 (List)

  • 리스트 생성: 대괄호 []를 이용해 생성한다.

student = [90, 95, 80, 85]
student

>> [90, 95, 80, 85]

type(student)	# student의 자료형 반환

>> list

  • 인덱스의 범위: 0부터 n-1까지
student[0]	# 0번 항목 값을 반환

>> 90

student[1]	# 1번 항목 값을 반환

>> 95

student[1] = 100	# 1번 항목에 새로운 데이터 할당
student

>> [90, 100, 80, 85]

  • 리스트 더하기와 곱하기
list1 = [1,2,3,4]
list2 = [2,3,4,5]

print(list1 + list2)	# 리스트 연결

>> [1,2,3,4,5,6,7,8]

print(list1 * 3)	# 리스트 반복

>> [1,2,3,4,1,2,3,4,1,2,3,4]

  • 리스트 중 일부 항목 가져오기
    리스트명[start : end : step]

    start, end, step 은 각각 시작, 끝, 증감 단계이다.
    start와 end 인덱스를 지정할 경우 start부터 end-1번 항목의 리스트 값을 반환하고, 생략할 경우 start는 0, end는 마지막으로 간주한다.
list_data = [0,1,2,3,4,5]

print(list_data)
print(list_data[3:5])
print(list_data[:4])
print(list_data[::2])

>> [0,1,2,3,4,5]
   [3,4]
   [0,1,2,3]
   [0,2,4]

  • 리스트에서 항목 삭제하기
print(list_data)

del list_data[2]
print(list_data)

>> [0,1,2,3,4,5]
   [0,1,3,4,5]

  • 리스트에서 항목의 존재 여부 확인하기
list_date = [0,1,2,3,4,5]

print(5 in list_data)
print(6 in list_data)

>> True
   False

  • 리스트 메서드
    리스트명.append(): 항목 추가하기
    리스트명.insert(): 항목 삽입하기
    리스트명.extend(): 리스트 확장하기
    ..



2. 튜플 (Tuple)

  • 튜플 생성: 소괄호 ()를 이용해 생성한다.
tuple1 = (1,2,3,4)
tuple1

>> (1,2,3,4)

type(tuple1)	# tuple1의 자료형 반환

>> tuple

  • 튜플 다루기
tuple2 = (1,2,3,4)
tuple2[1] = 5

#del tuple2[1]

>> TypeError: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한번 생성된 튜플의 요소는 바뀌지 않는다. (요소 삭제도 안됨)


tuple3 = ('a', 'a', 'a', 'b', 'b', 'c', 'd')

tuple3.index('c')

>> 5

tuple3.count('a')

>> 3



3. 세트 (Set)

  • 세트의 생성: 중괄호 {}를 이용해 생성한다.
set1 = {1,2,3}
set2 = {1,2,3,3}	# 중복된 데이터는 하나만 입력됨

print(set1)
print(set2)

>> {1,2,3}
   {1,2,3}

type(set1)	# set1의 자료형 반환

>> set

  • 리스트, 튜플, 세트 간 타입 변환
a = [1,2,3]
type(a)

>> list

b = tuple(a)

print(type(b))
print(b)

>> tuple
  (1,2,3)

c = set(a)

print(type(c))
print(c)

>> set
  {1,2,3}

list(b)

>> [1,2,3]
list(c)

>> [1,2,3]



4. 딕셔너리

  • 딕셔너리 생성: 중괄호 {}를 이용해 생성하고 키와 값의 구분은 콜론(:)으로, 키와 값의 쌍의 구분은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콤마(,)로 한다.
score = {"kor": 90, "math": 85, "sci": 100}
score

>> {"kor": 90, "math": 85, "sci": 100}

type(score)	# score의 자료형 반환

>> dict

score["sci"]

>> 100

  • 딕셔너리 데이터 추가, 변경하기
score["eng"] = 85
score

>> {'kor': 90, 'math': 85, 'sci': 100, 'eng': 85}

데이터 변경은 기존의 키 값을 이용해 위 코드처럼 실행한다.


  • 딕셔너리 데이터 삭제하기
del score["math"]
score

>> {'kor': 90, 'sci': 100, 'eng': 85}

  • 딕셔너리 메서드
    딕셔너리명.keys(): 키 값 반환
    딕셔너리명.values(): 데이터 값 반환
    딕셔너리명.items(): 키와 데이터 쌍을 반환
energy = {1: "술", 2: "담배", 3: "커피"}

energy.values()

>> dict_values(['술', '담배', '커피'])
profile
데이터 분석가 연습생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