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AI & ML Blog Highlights - MLOps

Jonas Kim·2024년 9월 15일
0

MLOps

Behind the Platform: the Journey to Create the LinkedIn GenAI Application Tech Stack (2024.11.26, LinkedIn)

Automation Platform v2: Improving Conversational AI at Airbnb (2024.10.30, Airbnb)

  • 기존 v1의 한계점
    • 사전 정의된 워크플로우로 인한 유연성 부족
    • 수동 워크플로우 생성으로 인한 확장성 문제
    • 시간 소모적이고 오류 발생 가능성 높음
  • v2 주요 아키텍처 구성
    1. LLM 워크플로우 처리 과정
      • 사용자 질의 수신
      • 컨텍스트 정보 수집 (채팅 기록, 사용자 ID 등)
      • 프롬프트 조립 및 LLM 전송
      • 도구 실행 및 서비스 호출
      • 결과 반환 및 대화 기록
    2. 생각의 사슬(Chain of Thought) 워크플로우
      • 주요 구성요소
        • CoT IO 핸들러: 프롬프트 조립, 데이터 처리
        • 도구 관리자: 실행 관리, 재시도, 속도 제한
        • LLM 어댑터: 다양한 LLM 통합 지원
      • 프로세스
        • 컨텍스트 준비
        • 논리적 추론 루프 실행
        • 도구 실행 및 결과 처리
    3. 컨텍스트 관리
      • 정적/동적 컨텍스트 선언 지원
      • 주요 구성요소
        • 컨텍스트 로더: 다양한 소스에서 정보 수집
        • 런타임 컨텍스트 관리자: 실시간 컨텍스트 관리
    4. 가드레일 프레임워크
      • 목적: LLM 출력 모니터링 및 안전성 보장
      • 특징
        • 병렬 실행 가능
        • 다양한 기술 스택 활용
        • 콘텐츠 모더레이션
        • 도구 실행 제한
  • 추가 기능
    • 플레이그라운드: 프롬프트 반복 테스트
    • LLM 중심 모니터링: 지연시간, 토큰 사용량 추적
    • 도구 관리 기능: 등록, 배포, 실행, 모니터링
  • 장점
    • 전통적 워크플로우와 LLM 결합
    •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 제공
    • 유연한 쿼리 해석 능력
    • 개발자 도구와의 원활한 통합
  • 향후 계획
    • 다양한 AI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탐색
    • 생각의 사슬 도구 기능 확장
    • LLM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연구

Accelerating Coupang’s AI Journey with LLMs (2024.10.15, Coupang)

  • ML 모델 유형
    • 추천 시스템 모델: 메인 피드, 검색, 광고에서 사용
      • 사용자 상호작용 데이터 활용 (클릭, 조회, 구매, 장바구니)
      • 사람이 레이블링한 관련성 판단 데이터 사용
    • 콘텐츠 이해 모델
      • 상품 카탈로그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처리
      • 사용자 생성 콘텐츠 (리뷰, 검색어) 분석
      • 사용자/판매자 데이터 활용
    • 예측 모델
      • 100+ 물류센터 운영을 위한 예측
      • 가격책정, 물류, 배송 최적화
      • 통계 기반에서 딥러닝으로 진화 중
  • LLM 주요 응용 분야
    • 이미지 & 언어 이해
      • 비전-언어 트랜스포머 모델로 통합 임베딩 생성
      • 한국어-대만어 상품명 번역
      • 이미지 품질 개선
      • 리뷰 요약
      • 키워드 생성
    • 대규모 약한 레이블 생성
      • 다국어(영어, 한국어, 대만어) 레이블 생성
      • 인간 수준의 레이블링 품질 달성
      • 새로운 분야 모델 학습을 위한 초기 데이터 제공
    • 카테고리화 & 속성 추출
      • 단일 LLM으로 전체 카테고리 처리
      • 상품 데이터의 깊은 이해를 통한 정확도 향상
  • 모델 아키텍처 선택
    • 주로 사용된 모델
      • Qwen, LLAMA, T5, Phi, Polyglot (NLP 작업용)
      • CLIP (이미지-텍스트 멀티모달)
      • TrOCR (텍스트 인식)
    • 3B-20B 파라미터 규모 선호 (효율성과 품질의 균형)
  • LLM 활용 패턴
    • 인 컨텍스트 학습 (ICL)
      • 프롬프트 기반 작업 수행
      • 빠른 프로토타이핑에 적합
    • 검색 증강 생성 (RAG)
      • 외부 지식베이스 활용
      • 실시간 처리의 어려움 존재
    • 지도 학습 기반 미세조정 (SFT)
      • 도메인 특화 데이터로 추가 학습
      • 기본 LLM 성능 향상
    • 지속 사전 학습 (CPT)
      • 대규모 데이터셋으로 추가 사전학습
      • 리소스 집약적이나 최고 성능 달성
  • 개발 인프라 및 도구
    • 탐색 단계
      • Apache Zeppelin 노트북
      • Spark on Kubernetes
      • GPU/멀티-GPU Jupyter 노트북
    • 모델 학습
      • Polyaxon on Kubernetes
      • PyTorch 분산 학습
      • 모델 병렬화 훈련
    • 프로덕션 배포
      • Ray + vLLM 추론 파이프라인
      • 모델 경량화(증류)
      • 임베딩 추출 방식
  • 인프라 최적화
    • GPU 리소스 관리
      • A100-80GB: 대규모 모델 학습
      • A10G-24GB: 테스트 및 경량 학습
      • 하이브리드 & 멀티리전 AI 클러스터 구축
    • 프레임워크
      • DeepSpeed Zero: 모델 병렬화
      • Nvidia Triton: 실시간 추론
      • Ray + vLLM: 배치 추론

Ray Batch Inference at Pinterest (2024.10.11, Pinterest)

  • 목적
    • Pinterest에서 Ray™를 이용한 오프라인 배치 추론 구현 방법 소개
    • Ray 기반 배치 추론 솔루션의 성능 향상 사례 공유
  • Ray 배치 추론의 주요 특징
    1. 스트리밍 실행: 데이터 로딩, 추론, 결과 쓰기 단계의 병렬 처리
    2. 이기종 클러스터 지원: CPU와 GPU 자원의 독립적 확장 가능
    3. 훈련 프레임워크 독립성: PyTorch, TensorFlow 등 다양한 ML 프레임워크 지원
    4. 작업 구성: 더 큰 ML 워크로드의 일부로 배치 추론 포함 가능
  • 구현 상세
    1. Ray Data의 map_batches 함수를 사용한 데이터셋 변환
    2. Ray 액터를 사용한 모델 가중치 로딩 및 추론 수행
    3. Pyarrow 테이블을 이용한 효율적인 캐리오버 컬럼 처리
    4. 다중 모델 추론 지원: 단일 Ray 작업에서 여러 모델 추론 가능
    5. 분산 누산기(Accumulators) 구현: 평가 메트릭 계산 최적화

    6. LLM 추론 지원: vLLM™ 통합
  • 주요 성과
    1. 관련 핀(p2p) 팀: TorchDataloader에서 Ray로 마이그레이션 후 4.5배 처리량 향상, 25% 비용 감소
    2. 검색 품질 팀: Spark™에서 Ray™로 마이그레이션 후 연간 비용 30배 이상 감소
  • 성능 향상 요인
    • 이기종 Ray 클러스터 활용으로 데이터 로딩 병목 현상 해소
    • GPU 리소스 활용으로 추론 단계 처리량 개선
    • 다중 모델 추론 기능으로 데이터 읽기 비용 감소
  • 향후 계획
    1. KubeRay 통합: 배치 추론 및 훈련 작업의 자동 확장 지원
    2. Ray Tune 적용
    3. Ray™에서 데이터 로더 성능 개선
    4. 내결함성 있는 Ray 배치 추론 및 훈련 구현
    5. Ray™를 이용한 특성 중요도 계산

생성형 AI 기반 실시간 검색 결과 재순위화 1편 - 서빙 시스템 아키텍처, 생성형 AI 기반 실시간 검색 결과 재순위화 2편 - LLM 서빙 (2024.09.24, 네이버)

  • 재순위화 서빙 시스템의 주요 요구사항
    • MSA 구조에서 적절한 응답 시간 SLO 달성
    • 고부하 상황에서 서버 보호
    • 빠른 응답 시간 내 검색 결과 반환
  • 주요 문제와 해결 방향
    1. 검색 서버에 대한 높은 검색 요청 부하
    2. 재순위화 과정에서의 시간 소요
  • 원격 캐시를 활용한 검색 서버 요청량 최적화
    • Nxcache라는 고가용성 원격 캐시 클러스터 도입
    • Cache-Control 헤더를 이용한 중복 요청 처리
    • 캐시를 통한 검색 결과 재사용으로 검색 서버 부하 감소
  • 병렬 비동기 호출을 통한 응답 시간 최적화
    • 모든 검색 서버를 동시에 비동기적으로 호출
    • 가장 오래 걸리는 서버의 처리 시간에 바운드됨
    • 제한 시간 초과 시 '결과 없음' 반환
  • MSA 환경에서의 병렬 호출 시 고려사항
    • 서버 간 순서나 의존 관계
    • 중복 요청 방지
    • 서버별 중요도에 따른 호출 전략 수립
    • OpenTelemetry를 통한 프로파일링 및 모니터링
  • 고부하 상황에서의 시스템 보호 전략
    1. 재순위화 서버로의 요청량 최적화
      • 캐시 도입 및 적절한 캐시 만료 시간 설정
    2. 재순위화 서버로 유입되는 요청량 줄이기
      - 캐시 활용: 재순위화 결과 캐싱
      - 디그러데이션 모드: LLM 대신 선형 모델 사용
      - 스로틀링 모드: 허용량 초과 시 '결과 없음' 반환
  • LLM 서빙의 주요 요구사항
    • 모델 품질 유지
    • GPU 리소스 최적화
    • 응답 속도 개선
    • 안정적인 서빙
  • GPU 서빙 프레임워크 선택
    • 검토한 프레임워크: TorchServe, TEI, TensorRT-LLM (TRT-LLM)
    • 최종 선택: TRT-LLM
      • 장점: Triton과 통합 용이, 최고의 처리량과 응답 속도
      • Triton 기능 활용: 동적 배치, REST API 등
      • CUDA 커널 레벨 최적화
  • LLM 모델 추론 성능 최적화
    • 양자화: fp32에서 bfp16으로 변환, 처리량 약 2배 증가
    • 배치 크기 조절: 입력량을 기준으로 설정, 최대 배치 크기는 2배로 설정
    • 동적 배치 미사용: 초기 성능 저하 방지
  • 성능 측정 및 최적화 도구
    • Triton의 Model Analyzer: 모델 설정 최적화
    • Performance Analyzer: 요청량에 따른 성능 측정
  • 주요 모니터링 지표
    • 처리량
    • p99 응답 속도
    • GPU 사용률
  • 운영 및 배포 환경
    • AiSuite 클러스터 및 KServe 활용
    • 맞춤형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성
    • Triton 관련 지표 활용 (배치 크기, queue duration 등)
    • Pod별 지표 측정으로 이상 동작 감지
  • 관찰 가능성(Observability) 개선
    • OpenTelemetry 도입
    • 각 단계별 연산 시간 요청별 확인 가능
  •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전략
    • GPU 사용률 기반 최대 가용량 설정
    • 사용량 제한(rate limit) 적용
    • 과도한 요청 시 'Too Many Requests' 응답
  • 향후 계획
    • Kubeflow 파이프라인 개발: 배포, 학습, 파인튜닝 자동화
    • LLM을 이용한 자동 평가 과정 개선

추천 시스템의 심장, Feature Store 이야기 (1)—혼란 속의 질서 찾기: Feature Store를 구축하다 (2024.08.20, 당근)

  • Feature Store 개발 배경
    • 기존 추천 시스템의 한계 극복 필요성
    • 피처 관리와 서빙의 중앙화 요구
  • 주요 요구사항
    • 실시간 피처 업데이트
    • 다양한 타입의 피처 지원 (action, static)
    • 유연한 쿼리 기능 (조회 기간, 개수 등 파라미터화)
    • 높은 처리량 (1.5k+ rps 서빙, 400+ wps 수집)
  • 아키텍처 설계
    • 3가지 주요 컴포넌트: Feature 레지스트리, 서빙 서버, 수집 워커
    • 스트림 기반 실시간 데이터 수집 (Stream Ingestion)
    • 캐시 서버 도입으로 빠른 응답 시간 확보
  • 데이터 모델링
    • 복합키 설계: (<prefix>#<entity_id>#<feature_name>, <timestamp or null>)
    • Action 피처와 Static 피처 구분
    • Redis Sorted Set 활용한 캐시 설계
  • 피처 정의 스키마
    • YAML 기반의 피처 정의 포맷
    • 이벤트 소스, 필터, 필드 추출 등 상세 설정 가능
  • API 설계
    • GraphQL 채택으로 유연한 쿼리 지원
    • 동적 피처 선택 및 파라미터 지정 가능
  • 기술 스택 선택
    • DB: Amazon DynamoDB (완전 관리형, 높은 확장성)
    • Cache: Amazon ElastiCache (Redis)
    • Queue: Kinesis, Kafka (MSK), 후에 PubSub으로 일부 전환
    • Remote Config: Central Dogma (오픈소스 원격 설정 저장소)
  • 성능 및 확장성
    • 초기 4개 피처에서 70개 이상으로 확장
    • 피크 기준 약 130K/s 요청량, 4M/s 피처 서빙량 달성
  • 추후 개선 사항
    • 성능 한계 극복을 위한 Feature Platform (v2) 개발 언급
    • 리소스 사용량 감소 및 레이턴시 약 50% 개선

Building a Generative AI Platform (2024.07.25)

  • 컨텍스트 강화
    • 외부 데이터 소스 및 도구 접근
    • RAG 구현: 키워드 vs. 임베딩 기반 검색
  • 가드레일
    • 입력 보호: 개인정보 유출 방지, 잘못된 프롬프트 실행 차단
    • 출력 보호: 응답 품질 평가, 실패 모드 정책 지정
  • 모델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 라우터: 쿼리별 최적 모델 선택
    • 게이트웨이: 통합 모델 접근, 접근 제어, 비용 관리
  • 캐시 구현
    • 프롬프트 캐시: 중복 텍스트 세그먼트 재사용
    • 정확한 캐시: 정확히 일치하는 항목 저장 및 재사용
    • 시맨틱 캐시: 유사 질의 재사용
  • 복잡한 로직 및 쓰기 작업
    • 조건부 모델 출력 전달
    • 데이터 쓰기 작업 구현 (예: 이메일 작성, 주문 처리)
  • 관찰 가능성 구현
    • 지표: 모델 성능 평가 (정확성, 독성, 환각률 등)
    • 로그: 시스템 동작 기록
    • 추적: 질의 처리 과정 상세 기록
  • AI 파이프라인 오케스트레이션
    • 컴포넌트 정의: 모델, 데이터베이스, 액션 등
    • 체이닝: 쿼리 처리 단계 정의 (처리, 검색, 프롬프트 생성, 응답 생성, 평가 등)
profile
Sr. Data Scientist at AW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