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와 자원

0

network

목록 보기
29/39

도메인 네임과 DNS, 그리고 URL 및 URI


1. 네트워크 상의 식별 체계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와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주요 정보:
1. 호스트 식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주체를 특정.

  • IP 주소: 호스트 식별의 기본 정보.
  • 도메인 네임: IP 주소 대신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호스트를 특정.
  1. 자원 식별: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리소스)를 특정.
    • URI: 자원의 식별자.
    • URL: 위치 기반의 식별.
    • URN: 이름 기반의 식별.

2. 도메인 네임

  • 정의:
    •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식별 정보.
    • IP 주소에 대응되며, 이를 대체하여 사용.
  • 필요성:
    • IP 주소의 외우기 어려움과 변경 가능성 해결.
    • 도메인 네임은 IP 주소와 동적으로 연결되므로 관리 용이.
  • 예시:
    • www.example.com, google.com.

도메인 네임의 계층 구조

  • 도메인 네임은 점(.)을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구성.
  • 구조:
    1. 루트 도메인: 마지막 점(.). 생략 가능.
    2. 최상위 도메인(TLD): com, org, kr 등.
    3. 2단계 도메인: example, google 등.
    4. 하위 도메인: www, mail 등.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 정의: 하나의 호스트를 특정하기 위한 전체 도메인 네임.
  • 예시: www.example.com. (루트 도메인 포함).

서브도메인

  • 다른 도메인 네임을 포함하는 하위 도메인.
  • 예시:
    • news.google.comgoogle.com의 서브도메인.

3. DNS (Domain Name System)

  • 역할: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 간의 매핑 관리.
  • 구조:
    • DNS 서버는 계층적으로 분산 관리.
    • 주요 서버 유형:
      1. 루트 네임 서버: TLD 네임 서버의 주소를 반환.
      2. TLD 네임 서버: 2단계 도메인의 네임 서버 주소 반환.
      3. 책임 네임 서버: 최종적으로 IP 주소를 반환.

DNS 작동 방식

  1. 클라이언트 요청: 로컬 DNS 서버에 도메인 네임 질의.
  2. DNS 리졸빙:
    • 루트 → TLD → 책임 네임 서버 순으로 질의.
    • 두 가지 방식:
      1. 재귀적 질의: DNS 서버가 단계별로 질의하고 최종 응답 반환.
      2. 반복적 질의: 클라이언트가 각 DNS 서버에 직접 반복 질의.

DNS 캐시

  • 질의 응답 결과를 임시 저장하여 중복 질의 방지.
  • TTL(Time To Live): 캐시의 유효 기간.

4.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정의: 네트워크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통일된 방식.
  • 종류:
    1.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의 위치 기반 식별.
    2. URN (Uniform Resource Name): 자원의 이름 기반 식별.

URL (위치 기반 식별자)

  • 구조:
    1. 스킴(Scheme): 자원 접근 방식 (예: http, https).
    2. 어소리티(Authority): 호스트 정보(IP 주소, 도메인 네임, 포트).
    3. 패스(Path): 자원이 위치한 경로.
    4. 쿼리(Query): 자원 요청 시 추가 정보 (키-값 형태).
    5. 프래그먼트(Fragment): 자원의 특정 부분을 가리킴.
  • 예시:
    https://www.example.com/products?sort=popularity#section1

URN (이름 기반 식별자)

  • 자원의 이름을 통해 식별.
  • 위치 변화와 관계없이 자원을 특정 가능.
  • 예시:
    • ISBN: urn:isbn:0451450523
    • RFC: urn:rfc:2141
  • 제한점: URL에 비해 널리 사용되지 않음.

5. HTTP와 URL

  • HTTP 프로토콜:
    • 자원을 요청/응답하는 데 사용.
    • URL을 기반으로 자원을 요청.
  • 쿼리의 역할:
    • URL 내에서 추가적인 자원 요청 정보를 전달.
    • 예시:
      https://www.example.com/search?query=books&sort=price_desc

6. 주요 개념 요약

구분정의예시
도메인 네임사람이 읽기 쉬운 호스트 식별 정보www.google.com
DNS도메인 네임과 IP 매핑 관리 시스템8.8.8.8 (Google 퍼블릭 DNS)
URI자원을 식별하는 통일된 식별자URL과 URN 포함
URL자원의 위치 기반 식별자https://www.example.com/home
URN자원의 이름 기반 식별자urn:isbn:0451450523

질문이나 추가 설명이 필요하다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