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는 여러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네트워크는 기기들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그래프 자료 구조의 형태로, 노드(기기)와 간선(연결 매체)로 구성됩니
\*패킷(Packet)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하는 정보의 기본 단위\*\*입니다.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는 전송 전에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나뉘며, 각 패킷은 목적지에 도착한 후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패킷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
두 대의 컴퓨터, 즉 두 대의 호스트가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는 미시적인 관점을 다룹니다.패킷이 어떻게 이동하며, 네트워크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를 설명합니다.패킷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단위입니다.데이터는 페이로드(Pa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적으로 나눔으로써 복잡한 통신 시스템을 단순화하고자 한 결과물입니다.TCP/IP 모델은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쓰이도록 설계된 실질적이고 간소화된 모델입니다.→ 이 두 모델은 네트워크 설계 및 학습을 체계화하기 위
트래픽은 네트워크를 통해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합니다. 비유적 설명: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를 떠올려 보세요. 자동차가 많을수록 도로가 혼잡해지죠.이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트래픽도 많아지면 노드(서버, 라우터 등)에 과부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자동차 = 데이
과거에는 네트워크 지식이 개발자보다는 네트워크 엔지니어나 시스템 관리자의 역할로 분리되어 있었습니다.하지만, 클라우드 환경과 코드 기반 인프라 관리가 발전하면서, 개발자도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해하고 다룰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네트워크 참조 모델(OSI 모델)에서 물리
이더넷(Ethernet)은 현대 유선 랜(LAN)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입니다.이더넷은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모두에 관여하며,각 계층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규칙과 프레임의 형식을 정의합니다. 물리 계층: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케이블과 같
프레임: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 이더넷 프레임: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전송.→ 송신 측에서는 데이터에 헤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를 추가해 프레임을 구성하며,수신 측에서는 이 헤더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는 호스트(컴퓨터 등)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입니다.다양한 형태와 종류가 존재하며, 네트워크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호스트 ↔ 네트워크 연결: NIC는 호스트와 물리적인 네
특징: 주소 개념 없음: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송신자/수신자를 구분할 수 없음. 단순 중계: 데이터 신호를 그저 중계만 하며, 판단하거나 조작하지 않음. 대표 장비: 허브(Hub), 리피터(Repeater).특징: 주소 개념 존재: MAC 주소를 기반으로 송수신
정의: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의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로,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특정 목적지로 전달합니다. 주요 특징:콜리전 도메인 분리: 허브와 달리 각 포트가 독립된 콜리전 도메인으로 동작, 충돌 방지. 전이중(Full-Duplex) 통신
정의: 네트워크 계층은 OSI 7계층 모델의 3계층으로,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주요 역할:IP 주소 제공: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해 각 호스트에 고유의 주소를 할당. 라우팅: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따라 전달될 수 있도록 경로를 결
정의: IP는 네트워크 계층의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로, 주소 지정과 단편화를 통해 패킷 전달을 가능하게 함. 버전: IPv4: 오늘날 주로 사용. 32비트 주소 체계.IPv6: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 128비트 주소 체계.주소 지정 (Addressing)
정의: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는 IP 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역할: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 시, 송수신 대상의 IP 주소는 알고 있지만 MAC 주소를 모를 경우, 이를 해결. 호스트 A가 네트워크 상
정의: 전송하려는 패킷 크기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초과할 경우, 패킷을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과정. 재조립: 수신지에서 조각난 패킷을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합침. 불필요한 트래픽 증가 단편화된 패킷마다 IP 헤더가
32비트로 구성된 주소 체계. 두 가지 구성 요소:네트워크 주소: 네트워크를 식별. 호스트 주소: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개별 호스트를 식별. 예시: IP 주소 172.16.10.5에서 172.16은 네트워크 주소, 10.5는 호스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
고정된 네트워크 크기:A, B, C 클래스는 각각 고정된 네트워크 주소 비트를 가지며, 이를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없음.IP 주소 낭비:네트워크 크기에 비해 과도한 IP 주소가 할당되어 낭비되는 경우가 발생.예: C 클래스(254개의 호스트)로는 부족하지만, B 클래스
IP 주소는 사용 목적 및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공인 IP 주소 (Public IP Address):정의: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 주소.용도: 네트워크 간의 통신, 즉 인터넷에서 사용.할당: 공인 IP 주소는 공식 기관(IANA, ISP 등)에서 할당.
정의 관리자가 직접 호스트에 고정된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네트워크 연결이 일정하고, 주소의 변동이 없어야 하는 장비에 주로 사용.특징 설정: 수작업으로 IP 주소를 직접 입력.활용: 서버,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프린터), 기업 내부 네트워크.필요한 정보:
정의: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전에 정해진 특별한 IP 주소.예시: 사설 IP 주소: 192.168.0.0/16, 10.0.0.0/8 등. 특정 목적의 주소: 0.0.0.0, 127.0.0.1 등.예약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IPv4)에서 특정 용도를 위해 미리 예약
정의: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서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필요성:단순한 LAN 환경을 넘어 여러 네트워크 간 통신이 필요할 때 경로를 설정.라우터 같은 네트워크 계층 장비가 이를 수행.특징:호프 바이 호프(Hop-by-Hop):
라우팅은 라우팅 테이블 생성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1\.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사용자가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장점: 단순하고 예측 가능.단점: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관리가 복잡, 경로 장애 시 유연성이 부족.사용 환경: 소규
위로는 응용 계층의 프로세스(프로그램)를 식별하고,아래로는 네트워크 계층의 IP 프로토콜 한계를 보완.신뢰할 수 없는 통신:패킷이 손실되거나 순서가 바뀌어도 이를 확인하거나 복구하지 않음.Best-Effort 방식: 최선을 다하지만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음.비연결형 통신
네트워크 외부에서 내부에 있는 특정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네트워크 내부 호스트의 사설 IP 주소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IP 주소 + 포트 번호 조합을 통해 특정 내부 호스트를 식별하고, 해당 호스트로 패킷을 전달.공인 IP와 포트 번호
정의: IP 프로토콜의 한계를 보완하는 보조 프로토콜. 역할: 피드백 메시지 제공: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고하거나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 비연결형 통신의 한계 보완: IP의 비신뢰성을 부분적으로 보완. 기반 RFC: RFC 792. 피드백 메시지 유
연결형 프로토콜: 송수신 호스트 간 연결을 수립한 후 데이터를 전송.신뢰성 보장:데이터 재전송: 손실된 패킷을 재전송.순서 보장: 데이터가 전송된 순서대로 수신.흐름 제어: 송수신 속도를 조절.혼잡 제어: 네트워크 혼잡을 완화.상태 유지: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 스테이트
TCP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제공합니다:1\. 오류 제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재전송을 통해 복구.2\. 흐름 제어: 수신 호스트가 처리할 수 있는 만큼만 데이터를 송신.3\. 혼잡 제어: 네트워크 혼잡
ECN은 네트워크 혼잡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으로, TCP 혼잡 제어의 보조 역할을 수행합니다.기본 개념: 송신 호스트가 혼잡을 감지하기 전에 라우터(중간 노드)가 혼잡 상태를 탐지하고 이를 알림.혼잡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혼잡 붕괴를 예방.기존 TCP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와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주요 정보:1\. 호스트 식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주체를 특정.IP 주소: 호스트 식별의 기본 정보.도메인 네임: IP 주소 대신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호스트를 특정.자원 식별: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리소스)
정의: DNS 서버에 저장된 자원 정보.구성 요소:이름(Name): 도메인 네임.값(Value): 해당 도메인에 대응되는 정보(IP 주소, 별칭 등).TTL(Time to Live): 캐싱 가능한 시간(초 단위).타입(Type): 레코드의 유형을 나타냄.DNS 레코드는
정의: 웹의 기반이 되는 가장 대중적이고 중요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역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특징: 요청-응답 기반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주고받음.미디어 독립성: 자원의 형식(HTML
특징:초창기 HTTP 버전으로 GET 메서드만 지원.헤더와 메시지 본문을 지원하지 않음.텍스트 기반으로 간단한 자원 요청만 가능.현황: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특징:POST, HEAD 등 다양한 메서드 지원.헤더를 통한 부가 정보 전달 가능.지속 연결(Persist
HTTP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1\. 시작 라인요청 메시지의 경우: 요청 라인 (예: GET /index.html HTTP/1.1)응답 메시지의 경우: 상태 라인 (예: HTTP/1.1 200 OK)필드 라인 (헤더)요청/응답 메시지에서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을 캡처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패킷 캡처 프로그램.패킷 캡처 프로그램: 네트워크 상의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다른 패킷 캡처 프로그램도 있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가 와이어샤크.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
이번 강의에서는 Wireshark를 활용하여 다양한 패킷을 직접 분석하면서, 지금까지 배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동작 방식을 복습합니다.사용할 패킷 캡처 파일 목록:1\. IPv4 Fragmentation (IP 버전 4 단편화 및 ICMP)2\. IPv6 Fragmen
가용성(Availability)은 컴퓨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며, 업타임(Uptime)과 다운타임(Downtime)으로 계산됩니다.가용성 수식:\[\\text{가용성} = \\frac{\\text{업타임}}{\\text{업타임} +
프록시(Proxy)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시스템.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직접 통신하지 않고, 프록시 서버를 거쳐 데이터를 주고받음.대표적인 프록시 서버 유형:포워드 프록시(Forward Proxy)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 핵심 차
네트워크에서 메시지를 평문(Plaintext)으로 주고받으면 보안상 취약.패킷을 가로채서(스니핑, Packet Capture) 메시지를 훔쳐볼 수도 있고, 변조(Man-in-the-Middle Attack, MITM)할 수도 있음.따라서 안전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암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Radio Waves)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네트워크.대표적인 예시: Wi-Fi(와이파이), Bluetooth, 4G/5G 이동통신, 위성 통신.3kHz ~ 300GHz 사이의 진동수를 갖는 전자기파.물리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무선 통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