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MP

0

network

목록 보기
25/39

ICMP 프로토콜 강의 요약


1. ICMP란?

  • 정의: IP 프로토콜의 한계를 보완하는 보조 프로토콜.
  • 역할:
    • 피드백 메시지 제공: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고하거나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
    • 비연결형 통신의 한계 보완: IP의 비신뢰성을 부분적으로 보완.
  • 기반 RFC: RFC 792.

2. ICMP의 주요 특징

  • 피드백 메시지 유형:
    • 오류 보고 메시지: 전송 중 발생한 문제 상황 전달.
    • 네트워크 진단 정보: 네트워크 상태 확인 및 진단.
  • 구성:
    • 타입(Type): 메시지 유형을 나타내는 번호.
    • 코드(Code): 해당 메시지의 구체적인 세부 내용.

3. 자주 사용하는 ICMP 메시지

① 오류 보고 메시지
  • 타입 3: 수신지 도달 불가 (Destination Unreachable)

    • 코드 0: 네트워크 도달 불가.
    • 코드 1: 호스트 도달 불가.
    • 코드 2: 프로토콜 사용 불가.
    • 코드 3: 포트 도달 불가.
    • 코드 4: 단편화 필요하지만, DF 비트로 인해 단편화 불가.
  • 타입 11: 시간 초과 (Time Exceeded)

    • 코드 0: TTL(Time To Live) 만료.
② 네트워크 진단 정보 메시지
  • 타입 8: 에코 요청 (Echo Request)
  • 타입 0: 에코 응답 (Echo Reply)
    • 주로 핑(Ping) 명령어에서 사용.
  • 라우터 광고 및 기타 진단 메시지.

4. ICMP의 한계

  • IP 신뢰성 보장 불가:

    • ICMP 메시지는 IP의 신뢰성을 완전히 보장하지 않음.
    • 피드백 메시지 자체가 유실될 가능성도 있음.
  • 보조적인 역할:

    •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거나, 전송 상황을 추적하는 데 도움.
    • IP 데이터그램 전송 성공 여부를 근본적으로 보장하지는 않음.
  • RFC 792의 명시:

    • ICMP는 통신 문제에 대한 피드백 제공이 목적이지, IP의 신뢰성을 완전히 보장하는 프로토콜이 아님.

5. 실습 및 활용

  • 핑(Ping):

    •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 ICMP 에코 요청(Type 8)에코 응답(Type 0) 메시지 사용.
  • 트레이스아웃(Traceroute):

    • 네트워크 경로 추적 및 지연 시간 확인.
    • ICMP TTL 만료 메시지(Type 11) 활용.

6. ICMP의 중요성

  • 네트워크 문제 진단:

    • 오류 보고와 진단 정보를 통해 전송 문제 파악 가능.
  • 보조적인 도구:

    • IP 프로토콜의 비신뢰성을 완화하는 역할.
    • 하지만 TCP와 같은 신뢰성 보장 프로토콜로 완전한 신뢰성을 달성해야 함.

다음 강의에서는 TCP와 UDP를 학습하며, 전송 계층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