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테이블

0

network

목록 보기
21/39

라우팅 개념과 라우팅 테이블의 이해


1. 라우팅(Routing)이란?

  • 정의: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서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

  • 필요성:

    • 단순한 LAN 환경을 넘어 여러 네트워크 간 통신이 필요할 때 경로를 설정.
    • 라우터 같은 네트워크 계층 장비가 이를 수행.
  • 특징:

    • 호프 바이 호프(Hop-by-Hop):
      패킷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면서 여러 중간 장비(노드)를 거침.
      홉(Hop)은 패킷이 한 노드를 통과하는 단위를 의미.
    • TTL(Time to Live):
      패킷이 지나가는 홉마다 TTL 값이 1씩 감소, 값이 0이 되면 패킷은 폐기.

2.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 정의:
    라우터가 패킷을 전송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가 담긴 표.
  • 기능: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해 패킷을 적절한 다음 노드로 전달.
  • 구성 정보:
    1. 수신지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패킷의 최종 목적지를 식별.
    2. 다음 홉(Next Hop):
      패킷이 이동할 다음 노드의 IP 주소.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패킷을 내보낼 인터페이스(라우터의 특정 포트 등).
    4. 메트릭(Metric):
      특정 경로를 이용하는 데 드는 비용.
      값이 낮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3. 라우팅 프로세스

  • 라우터의 역할:

    1.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
    2. 라우팅 테이블에서 적절한 경로를 검색.
    3. 해당 경로를 통해 패킷을 전송.
  • 라우팅 테이블 예시: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메트릭
    192.168.2.0   255.255.255.0   192.168.2.1   이더넷 0     10
    0.0.0.0       0.0.0.0         192.168.0.1   이더넷 1     20
    • 첫 번째 행:
      • 수신지 주소: 192.168.2.0/24.
      • 다음 홉: 192.168.2.1.
      • 인터페이스: 이더넷 0.
      • 메트릭: 10 (우선순위 높음).
    • 두 번째 행:
      • 디폴트 라우트(0.0.0.0/0):
        모든 패킷을 기본 게이트웨이(192.168.0.1)로 전달.

4. 라우팅 유형

라우팅은 라우팅 테이블 작성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1.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관리자가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
  •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
  • 장점: 간단하고 예측 가능.
  • 단점: 네트워크 변경 시 수동 업데이트 필요.
  1.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 라우팅 프로토콜(RIP, OSPF 등)을 통해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 생성.
    •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장점: 네트워크 상태 변화에 자동 적응.
    • 단점: 프로토콜 오버헤드 발생.

5. 디폴트 라우트(Default Route)

  • 정의:
    수신지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 패킷을 전달할 기본 경로.
  • 표현 방식:
    • 수신지 IP 주소: 0.0.0.0.
    • 서브넷 마스크: /0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
  • 예시: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메트릭
    0.0.0.0       0.0.0.0         192.168.0.1   이더넷 1     20
    • 패킷의 목적지가 다른 경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192.168.0.1로 전송.

6. 라우팅 테이블 확인 방법

  • 윈도우:

    • 명령어: route print.
    • 출력 항목:
      • 네트워크 대상 (수신지 IP 주소).
      • 네트워크 마스크.
      • 게이트웨이.
      • 인터페이스.
      • 메트릭.
  • 리눅스/맥:

    • 명령어: netstat -rn 또는 ip route show.
    • 출력 항목:
      •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 게이트웨이(gateway).
      • 플래그(flags).
      • 인터페이스(interface).

정리

  1. 라우팅:
    • 네트워크 간의 최적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
  2. 라우팅 테이블:
    • 라우터가 참조하는 경로 정보.
  3. 디폴트 라우트:
    • 다른 경로가 없을 때 패킷을 전달할 기본 경로.
  4. 라우팅 유형:
    • 정적 라우팅(수동)과 동적 라우팅(자동).

라우팅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라우팅 프로토콜동적 라우팅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