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81/100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1. 데이터 표준이란?

  • 정형화된 데이터 구조로 누구나 알아볼 수 있게 데이터 형식과 규칙을 정의한 것
  •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동일한 기준에 따라 데이터가 해석되고 처리되도록 함

예시:

  • 우편 편지에서 받는 사람 주소는 우측 하단, 보내는 사람 주소는 좌측 상단에 표기하는 규격
  • 국제적 통신에서 각국이 공통 언어(영어)를 사용하는 것

2.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화란?

  • 모듈 간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표준화하는 것
  • 기존의 데이터 중 공통 영역을 추출하거나, 데이터를 변환하여 양쪽 시스템이 이해 가능한 표준 데이터로 정의함
  • 표준화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시 사용됨

3.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

데이터 표준 확인은 크게 3가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입·출력 값데이터 특성을 검토
  • 입·출력 값의 의미데이터 구조를 확인하여 데이터 흐름과 형식을 명확히 정의
  • 확인 항목:
    • 입력값과 출력값의 명칭, 형식, 길이, 의미
    • 데이터 값의 기본 규칙 (필수 여부, 허용 범위 등)

2)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바탕으로 기능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검토
  • 각 기능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올바른 형식인지 확인
  • 확인 항목:
    • 인터페이스 기능에서 필요한 데이터 항목과 데이터의 특성
    • 기능 간 데이터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

3)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기능에서 확인된 데이터 항목을 검토
  • 데이터 항목들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데이터 표준을 확정
  • 확인 항목:
    • 데이터 항목의 일관성과 완전성
    • 데이터 항목의 중복 여부
    • 표준 규격 준수 여부

4. 데이터 표준화의 중요성

  • 데이터 오류 및 중복 방지: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호환성 확보
  • 효율적 유지보수: 표준화된 데이터는 관리와 변경이 용이
  • 통신 및 업무 효율성 향상: 데이터 구조가 명확하면 통신 오류가 줄어들고 작업 속도가 빨라짐

5. 데이터 표준 확인 시 주요 개념

확인 단계설명주요 내용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입·출력 데이터 구조와 특성 검토데이터의 의미, 형식, 특성 확인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기능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 검토각 기능에 필요한 데이터의 올바른 사용 여부 검토
데이터 표준 확인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기능에서 식별된 데이터 검토데이터 항목의 최종 표준 확정

6. 시험 대비 포인트

  • 데이터 표준의 개념과 필요성
  •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와 각 단계에서의 주요 확인 항목
  •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기능 간 관계 및 데이터 흐름 확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