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1. 데이터 표준이란?
- 정형화된 데이터 구조로 누구나 알아볼 수 있게 데이터 형식과 규칙을 정의한 것
-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동일한 기준에 따라 데이터가 해석되고 처리되도록 함
예시:
- 우편 편지에서 받는 사람 주소는 우측 하단, 보내는 사람 주소는 좌측 상단에 표기하는 규격
- 국제적 통신에서 각국이 공통 언어(영어)를 사용하는 것
2.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화란?
- 모듈 간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표준화하는 것
- 기존의 데이터 중 공통 영역을 추출하거나, 데이터를 변환하여 양쪽 시스템이 이해 가능한 표준 데이터로 정의함
- 표준화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시 사용됨
3.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
데이터 표준 확인은 크게 3가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입·출력 값과 데이터 특성을 검토
- 입·출력 값의 의미와 데이터 구조를 확인하여 데이터 흐름과 형식을 명확히 정의
- 확인 항목:
- 입력값과 출력값의 명칭, 형식, 길이, 의미
- 데이터 값의 기본 규칙 (필수 여부, 허용 범위 등)
2)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바탕으로 기능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검토
- 각 기능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올바른 형식인지 확인
- 확인 항목:
- 인터페이스 기능에서 필요한 데이터 항목과 데이터의 특성
- 기능 간 데이터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
3)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기능에서 확인된 데이터 항목을 검토
- 데이터 항목들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데이터 표준을 확정
- 확인 항목:
- 데이터 항목의 일관성과 완전성
- 데이터 항목의 중복 여부
- 표준 규격 준수 여부
4. 데이터 표준화의 중요성
- 데이터 오류 및 중복 방지: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호환성 확보
- 효율적 유지보수: 표준화된 데이터는 관리와 변경이 용이
- 통신 및 업무 효율성 향상: 데이터 구조가 명확하면 통신 오류가 줄어들고 작업 속도가 빨라짐
5. 데이터 표준 확인 시 주요 개념
확인 단계 | 설명 | 주요 내용 |
---|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 입·출력 데이터 구조와 특성 검토 | 데이터의 의미, 형식, 특성 확인 |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 기능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 검토 | 각 기능에 필요한 데이터의 올바른 사용 여부 검토 |
데이터 표준 확인 |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기능에서 식별된 데이터 검토 | 데이터 항목의 최종 표준 확정 |
6. 시험 대비 포인트
- 데이터 표준의 개념과 필요성
-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와 각 단계에서의 주요 확인 항목
-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기능 간 관계 및 데이터 흐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