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82/100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1.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란?

  • 설계서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기능구현하기 위해 기능별로 기술하는 것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하는 과정에서는 구현 절차와 방법을 명확히 정리

2.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절차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1) 컴포넌트 명세서 확인

  • 각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확인
  • 컴포넌트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명확히 파악

2) 인터페이스 명세서 확인

  • 인터페이스 세부 조건기능을 검토
  • 명세서에 정의된 데이터 규격, 입출력 조건, 오류 처리 방식 등을 확인

3) 일관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 인터페이스 기능과 데이터 표준을 기반으로 송수신 절차세부 구현 절차를 정의
  •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듈 세부 설계서를 참조하여 기능별로 정리

4)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형화

  •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종속되지 않도록
  • 표준화된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형화
  •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문서화

3.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관련 문서

1) 모듈 세부 설계서

  • 모듈의 구성 요소동작에 대해 정의한 문서
  • 모듈 간 연동을 위한 기능 구현의 기준이 됨
설계서의 종류:
  • 컴포넌트 명세서
  • 인터페이스 명세서

4. 컴포넌트 명세서

  • 컴포넌트의 ID, 명칭, 기능내부 클래스 동작에 대한 정의
  • 컴포넌트와 외부 통신 방법도 포함

5. 인터페이스 명세서

  • 컴포넌트 명세서 중 인터페이스 관련 항목을 정리한 문서
  • 세부 조건기능 구현에 필요한 요소들을 정의
주요 항목:
  •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 명칭
  • 오퍼레이션 명
  • 오퍼레이션 개요
  • 사전 조건 및 사후 조건
  • 파라미터반환값

6. 시험 대비 포인트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절차에 대한 이해
  • 컴포넌트 명세서인터페이스 명세서의 차이점
  • 인터페이스 기능을 일관성, 정형화, 표준화하는 방법

이 과정을 통해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이 체계적이고 표준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