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네트워크 개요 및 핵심 개념 정리
1.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란?
✅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Radio Waves)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네트워크.
✅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기지국, 위성 등)와 무선 신호로 연결됨.
✅ 장소에 관계없이 인터넷 접속 가능 (이동성 높음).
2.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
종류 | 설명 | 예시 |
---|
Wi-Fi (와이파이) |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기술 | 집, 카페, 회사에서 인터넷 사용 |
Bluetooth (블루투스) | 단거리 무선 통신 | 스마트폰-이어폰 연결, 스마트워치 연동 |
셀룰러 네트워크 (4G/5G) | 이동통신망 기반 인터넷 | LTE, 5G 데이터 사용 |
위성 통신 | 지구 궤도의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 | GPS, 위성 인터넷(스타링크) |
3. 무선 네트워크의 장점 & 단점
구분 | 장점 | 단점 |
---|
이동성 |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 | 신호가 약하면 속도 저하 |
편리성 | 케이블 없이 쉽게 연결 | 전파 간섭 발생 가능 |
유연성 | 여러 기기를 쉽게 추가 가능 | 보안 위험 (해킹, 불법 접속 가능) |
4. 유선 네트워크 vs 무선 네트워크 비교
구분 | 유선 네트워크 | 무선 네트워크 |
---|
연결 방식 | 케이블로 직접 연결 | 전파로 연결 |
속도 | 빠르고 안정적 | 환경에 따라 변동 |
설치 비용 | 초기 비용 높음 | 상대적으로 저렴 |
이동성 | 제한적 (케이블 필요) | 자유롭게 이동 가능 |
5. 무선 통신의 매체: 전파(Radio Waves)
5.1 전파란?
- 3kHz ~ 300GHz 사이의 진동수를 갖는 전자기파.
- 물리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무선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
- 전파 신호는 같은 공간에서 혼재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관리가 중요.
5.2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 주파수 대역이란? 특정 주파수를 할당하여 서로 다른 무선 신호를 구분하는 방식.
-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국은 국가별 주파수 분배 도표를 통해 주파수를 분배.
- 무선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 2.4GHz 대역: 전파 도달 거리가 길지만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 5GHz 대역: 속도가 빠르지만 장애물(벽, 가구 등)에 영향을 많이 받음.
6. 무선 네트워크 표준: IEEE 802.11
✅ IEEE 802.11은 Wi-Fi(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국제 표준
✅ 주파수, 속도, 전송 거리 등을 정의하여 무선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
7. Wi-Fi (와이파이)
7.1 Wi-Fi란?
- IEEE 802.11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랜(WLAN) 기술.
- Wi-Fi Alliance에서 인증한 제품에만 Wi-Fi 로고(인증 마크) 사용 가능.
- 주요 특징:
- 유선 네트워크 없이 인터넷 연결 가능.
- 노트북, 스마트폰, IoT 기기 등 다양한 장치 지원.
7.2 Wi-Fi 2.4GHz vs 5GHz
- 2.4GHz Wi-Fi: 신호 범위가 넓지만 간섭이 많음.
- 5GHz Wi-Fi: 속도가 빠르지만 장애물 영향을 많이 받음.
✅ Wi-Fi 사용 시 고려할 점
- 장애물이 많은 환경 → 2.4GHz 추천.
- 빠른 속도가 필요한 환경 → 5GHz 추천.
8. 무선 네트워크에서 채널(Channel) 개념
8.1 채널(Channel) 개념
-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도 여러 개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해 채널을 사용.
- 주파수 대역을 세분화하여 여러 개의 채널을 제공.
- 예시:
- 2.4GHz 대역: 1~13번 채널.
- 5GHz 대역: 36, 40, 44, 48, 149, 153, 157, 161번 채널.
9. 무선 네트워크 장비: AP(Access Point)
9.1 AP(액세스 포인트)란?
-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장치.
- 일반적인 Wi-Fi 공유기가 대표적인 AP.
- 역할:
-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 연결.
- 무선 장치(스마트폰, 노트북 등) 간의 데이터 중계.
10. 무선 네트워크에서 SSID (서비스 셋 식별자)
10.1 SSID란?
- 무선 네트워크의 고유한 이름.
- 사용자가 Wi-Fi 목록에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데 사용됨.
✅ SSID 보안 팁
- 기본 SSID(예: "TP-Link_1234")를 변경하여 보안 강화.
- SSID 숨기기는 추가 보안 조치로 유용하지만 완벽한 해결책은 아님.
11. 무선 네트워크의 주요 보안 방식
11.1 Wi-Fi 보안 프로토콜
보안 방식 | 설명 | 보안 수준 |
---|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 초기 Wi-Fi 보안 방식. 보안 취약. | 🔴 매우 낮음 |
WPA (Wi-Fi Protected Access) | WEP보다 강화된 보안. | 🟠 보통 |
WPA2 (Wi-Fi Protected Access 2) | AES 기반의 강력한 암호화 사용. | 🟢 높음 |
WPA3 | 최신 보안 프로토콜. 더욱 강력한 암호화 및 보호 기능. | 🟢🔵 매우 높음 |
✅ 현재 Wi-Fi 보안은 WPA2 또는 WPA3 사용을 권장.
12. 결론
✅ 무선 네트워크는 전파(주파수 대역)를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
✅ IEEE 802.11 표준을 따른 다양한 Wi-Fi 기술이 존재.
✅ 보안 설정을 강화하여 안전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