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 메커니즘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57/100

연계 메커니즘 (Integration Mechanism)


1. 연계 메커니즘의 정의

  • 연계 메커니즘이란?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과 절차를 의미.
    • 데이터 송수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시스템데이터 변환 과정을 포함.

2. 연계 메커니즘의 필요성

  • 이질적인 시스템 간 데이터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
  • 네트워크 환경이나 데이터 구조가 다를 경우, 데이터 변환 및 매핑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함.
  • 보안 품질이 요구되는 경우 중계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의 안전한 송수신 지원.

3. 연계 메커니즘의 구성

  1. 송신 시스템

    • 데이터를 생성, 변환, 전송하는 역할.
    • 구성 요소:
      •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 로그 기록
  2. 수신 시스템

    • 데이터를 수신, 정제, 변환, 운영 DB 반영하는 역할.
    • 구성 요소:
      • 연계 데이터 수신
      • 운영 데이터베이스 반영
      • 수신 어댑터
      • 로그 기록
  3. 중계 시스템

    • 송신 및 수신 시스템 간 데이터를 중재, 변환, 매핑, 전달하는 역할.
    • 중계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 쪽에 주로 위치.
  4. 연계 데이터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 주고받는 데이터.
    • 파일, 테이블, 네트워크 메시지 형태로 존재.
  5. 로그 기록

    •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의 이력 및 오류 정보를 기록.
    • 발생된 문제를 추적하고 해결하기 위해 필요.

4. 연계 방식의 종류

  1. 직접 연계 방식

    • 중간 매개체 없이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이 직접 데이터 송수신.
    • 예:
      • DB 링크: 데이터베이스 간 직접 연결.
      • AP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연결.
      • JDBC: 자바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 장점: 간단한 구조, 빠른 데이터 전송.
    • 단점: 시스템 간 의존성 증가, 보안 취약 가능성.
  2. 간접 연계 방식

    • 중간 매개체(중계 시스템)를 통해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송수신.
    • 예:
      • ESB (Enterprise Service Bus): 기업 간 데이터 통합을 위한 버스 구조.
      • 연계 솔루션: 연계를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
      • 웹 서비스: SOAP, REST 기반의 서비스.
    • 장점: 시스템 독립성 유지, 보안 강화.
    • 단점: 추가 비용 발생, 복잡한 구조.

5. 연계 메커니즘 과정

  1.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 송신 시스템에서 연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추출.
    • 예: 특정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추출.
  2.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 송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를 수신 시스템 코드로 매핑.
    • 데이터 형식 변환.
    • 예: 부서 코드(A01 → 영업부), 날짜 형식 변환(YYYY-MM-DD → MM/DD/YYYY).
  3.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 연계 데이터를 테이블이나 파일 형식으로 저장.
    • 송신 데이터가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되기 전에 임시 저장.
  4. 로그 기록

    •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한 이력 및 오류 정보를 기록.
    • 송수신 오류 발생 시 원인 파악 및 해결에 활용.
  5. 연계 서버 및 어댑터 역할

    • 송신 어댑터:
      • 연계 데이터를 전송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송신.
    • 수신 어댑터:
      • 수신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로 변환.
    • 연계 서버는 주로 수신 시스템 쪽에 위치.
  6. 전송 및 운영 DB 반영

    •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 데이터를 전송.
    •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반영.

6. 연계 메커니즘의 사례

  • 문자 메시지 전송 과정:
    •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 → 송신 시스템(SKT)에서 메시지를 임시 저장(인터페이스 테이블) → 수신 시스템(KT)으로 메시지 전달 → 최종 수신자에게 메시지 도착.

7. 연계 메커니즘 구성 및 절차

  1. 송신 시스템:

    • 데이터를 생성하고 변환하여 전송.
    • 주요 작업: 데이터 생성 및 추출, 코드 매핑, 인터페이스 테이블 생성.
  2. 중계 시스템:

    • 송신 데이터의 변환, 매핑, 전달.
    • 주요 작업: 데이터 전송 및 중계, 로그 기록.
  3. 수신 시스템:

    • 데이터를 수신하고 운영 DB에 반영.
    • 주요 작업: 데이터 수신, 변환 및 정제, DB 반영.

8. 시험 대비 포인트

  • 직접 연계 vs 간접 연계의 차이:
    • 중간 매개체 여부로 구분.
  • 연계 메커니즘 절차:
    • 생성 → 매핑 → 전송 → 수신 → 반영.
  • 구성 요소:
    •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중계 시스템, 로그 기록, 연계 데이터.

위 내용을 통해 연계 메커니즘을 확실히 이해하고 시험에 대비하세요!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