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 장애 및 오류 처리 구현
1. 연계 장애 및 오류 발생 시점
-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연계 서버에서 각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 발생 시점별 주요 원인:
- 송신 시스템:
-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단계에서 오류 발생.
- 연계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 수신 시스템:
- 연계 데이터를 로드(불러오는)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연계 데이터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 연계 서버:
- 연계 데이터를 전송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 송신 측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 발생.
2. 장애 및 오류 유형
-
연계 데이터 오류
- 데이터 내용에 대한 불일치, 형식 오류, 누락된 데이터 등.
- 예: 부서 코드의 매핑 오류, 잘못된 데이터 타입 변환.
-
연계 서버 오류
- 연계 서버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장애.
- 예: 네트워크 연결 실패, 전송 프로세스 실패.
-
송수신 시스템 연계 프로그램 오류
- 송신/수신 시스템의 연계 프로그램 내 논리적 또는 기능적 오류.
- 예: 코드 매핑 실패, 데이터베이스 연결 실패.
3. 장애 및 오류 처리 절차
1단계: 1차 확인 (모니터링 화면 확인)
- 연계 서버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장애 및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
- 발생 원인을 추적하고, 상황에 따라 바로 조치 가능.
2단계: 2차 확인 (로그 기록 분석)
- 송수신 시스템 및 연계 서버에서 기록된 로그 테이블 또는 로그 파일 확인.
- 로그를 통해 발생 시점, 오류 원인, 처리 필요성 분석.
3단계: 원인 분석 및 적절한 조치
- 로그 분석 결과에 따라 오류 원인을 정확히 파악.
- 원인에 맞는 적절한 처리 방안을 선택 및 실행.
- 예: 데이터 변환 문제 해결, 네트워크 재설정, 연계 서버 재부팅 등.
4. 장애 관리 절차
-
관리 대상 정의
- 송수신 시스템 및 연계 서버의 장애 및 오류 유형을 구체적으로 정의.
- 관리 대상으로 설정된 장애 유형에 대해 코드와 메시지를 정의.
- 예: 오류 코드(1001, 2001 등)와 그에 따른 오류 메시지(예: "데이터 형식 오류").
-
장애 및 오류 내용 분류
- 오류 유형별로 주제별 분류 진행.
- 예: "데이터 형식 오류", "네트워크 전송 실패" 등.
-
코드 및 메시지 정의
- 각 오류 유형에 대해 고유 오류 코드 부여.
- 오류 코드에 대한 설명 메시지를 작성하여, 장애 발생 시 사용자나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달.
-
관리 방식 선택
- 장애 및 오류 유형이 많을 경우:
- 장애 및 오류 유형이 적을 경우:
-
기록 단위 설계
- 장애 및 오류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 설계:
-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저장.
- 로그 파일에 기록.
- 연계 데이터 관련 정보를 포함한 로그 기록.
5. 장애 및 오류 처리 사례
-
사례 1: 코드 매핑 오류
- 문제: 송신 측에서 부서 코드를 "A01"로 전송했으나, 수신 측에서 "영업부"로 변환되지 않음.
- 조치: 로그 기록 확인 → 코드 매핑 테이블 수정 → 오류 데이터 재전송.
-
사례 2: 데이터베이스 연결 실패
- 문제: 수신 시스템에서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반영 중 연결 오류 발생.
- 조치: 데이터베이스 상태 점검 → 연결 재설정 → 데이터 재반영.
-
사례 3: 전송 과정 중 네트워크 장애
- 문제: 연계 서버에서 네트워크 전송 중 데이터 손실.
- 조치: 네트워크 상태 점검 → 데이터 재전송 → 로그 파일 업데이트.
6. 연계 장애 및 오류 처리의 핵심 포인트
- 발생 시점 구분
-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연계 서버 중 오류 발생 위치를 명확히 이해.
- 로그 관리
- 장애 및 오류에 대한 로그 기록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
- 기록된 로그를 통해 원인 분석 및 문제 해결.
- 관리 방식
- 오류 관리 대상의 규모에 따라 테이블 또는 파일 관리 방식을 선택.
- 처리 절차 숙지
- 1차 모니터링 → 2차 로그 분석 → 원인 해결 단계를 숙지.
7. 시험 대비 정리
- 오류 발생 시점: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연계 서버로 구분.
- 장애 및 오류 유형: 데이터 오류, 서버 오류, 연계 프로그램 오류로 분류.
- 처리 절차: 모니터링 확인 → 로그 분석 → 적절한 조치.
- 관리 방식: 오류 유형 많을 시 테이블 관리, 적을 시 파일 관리.
시험에서 오류 유형과 처리 절차에 대한 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주요 내용을 잘 정리하고 반복 학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