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방법 명세에 대한 정리
1.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 개요
-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란 시스템 간의 연계 방법을 정의하여 문서로 작성하는 것
- 인터페이스 별로 송수신 데이터 처리 방식,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등을 명확히 기술
- 주요 내용:
- 시스템 연계 기술
- 통신 유형
- 데이터 처리 방식
- 발생 주기
-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등
2. 주요 명세 항목
-
시스템 연계 기술
- 시스템 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연계 기술
- 주요 연계 기술:
- DB Link: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연결 객체(DB Link)를 통해 데이터 연동
- Open API: 공개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해 시스템 연동
- EAI 솔루션: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EAI) 서버를 통해 여러 시스템을 통합 관리
- 소켓(Socket):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특정 포트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음
- 웹 서비스(Web Service):
-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서비스
-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 WSDL, UDDI, SOAP
-
통신 유형
- 시스템 간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
- 단방향 통신: 요청만 발생, 응답 없음 (예: TV나 라디오)
- 동기 방식: 요청 후 응답을 기다림 (예: 은행 이체)
- 비동기 방식: 요청 후 다른 작업을 수행하며 응답을 기다리지 않음 (예: 이메일 전송)
-
데이터 처리 유형
- 실시간 처리: 요청 시 즉시 데이터를 처리
- 지연 처리: 한 건씩 일정 시간 후에 처리 (예: 본인 인증 메시지 전송)
- 배치 처리: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 (예: 월급 계산, 세금 정산)
-
발생 주기
-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주기
- 주기 설정 기준: 업무 성격, 데이터 전송량 등
- 주기 유형:
-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 송수신 중 발생하는 오류를 어떻게 식별하고 처리할 것인지 정의
- 주요 항목:
3. 주요 연계 기술의 특징
연계 기술 | 설명 |
---|
DB Link | 데이터베이스 간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연동 |
Open API | 공개된 API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동 |
EAI 솔루션 |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데이터를 중앙 관리 |
소켓(Socket) | 특정 포트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지원 |
웹 서비스 | SOAP, WSDL, UDDI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시스템 상호작용 지원 |
4. 통신 유형 비교
통신 유형 | 설명 |
---|
단방향 | 요청만 전송하고 응답이 없는 방식 (예: TV 방송) |
동기 | 요청 후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 (예: 은행 거래) |
비동기 | 요청 후 다른 작업을 수행하며 응답을 기다리지 않음 (예: 메시지 전송) |
5. 데이터 처리 유형 비교
처리 유형 | 설명 |
---|
실시간 처리 | 요청 시 즉시 처리 (예: 온라인 주문) |
지연 처리 | 일정 시간 후에 한 건씩 처리 (예: 인증 코드 전송) |
배치 처리 | 대량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 (예: 월간 정산) |
6. 발생 주기
- 인터페이스 사용 주기 설정
- 주기 설정 시 고려사항:
7. 시험 대비 포인트
- 연계 기술(DB Link, Open API, EAI 솔루션, 소켓, 웹 서비스)의 정의와 특징
- 통신 유형(단방향, 동기, 비동기)의 차이점
- 데이터 처리 유형(실시간, 지연, 배치 처리)의 사용 예시
- 오류 처리 및 발생 주기 설정 기준
이 내용들을 잘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정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