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수신 데이터 식별에 대한 정리
1. 송수신 데이터 식별 개요
- 송수신 데이터: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교환되는 정보
- 표준 형식에 맞춰 데이터를 규격화하여 주고받음
- 송수신 데이터 식별 과정에서 크게 3가지 항목이 식별됨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 송수신 데이터 항목
- 공통 코드
2.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 송수신 시스템 간 연동을 위해 필요한 표준적인 데이터 항목
구성 요소
-
시스템 공통부
- 시스템 간 연동에 필요한 공통 정보를 포함
- 예: 인터페이스 ID, 전송 시스템 정보, 서비스 코드, 응답 결과 정보, 장애 정보 등
-
거래 공통부
- 시스템이 연동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
- 예: 직원 정보, 승인자 정보, 기기 정보, 매체 정보 등
예시: 두 시스템이 명함을 교환하듯이 서로의 정보를 주고받아 연동 준비를 하고, 이후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3. 송수신 데이터 항목
- 송수신 시스템이 업무 수행 시 사용하는 데이터
- 인터페이스별로 데이터 항목과 순서가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음
4. 공통 코드
-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
- 연계 시스템의 상태나 오류를 파악하기 위한 코드 항목
구성 요소
예시: 전산 시스템에서 상태 코드 200
이 "정상 처리", 404
가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처럼 공통 코드를 관리
5. 정보 흐름 식별
- 정보가 시스템 간에 어떤 방향으로 흐르는지 식별
- 정보 흐름을 화살표로 표현하여 데이터의 전송 경로와 방향을 명확히 표시
예시:
- 도로에서 차가 특정 방향으로 흐르듯이 데이터도 시스템 간 특정 방향으로 전송
6. 송수신 데이터 식별 절차
- 개발할 시스템과 연계할 내부·외부 시스템 간의 정보 흐름을 화살표로 표시
- 송수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과 데이터 항목을 식별
- 공통 코드 데이터 항목도 함께 식별하여 관리
7. 주요 항목 요약
항목 | 설명 |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 시스템 간 연동에 필요한 공통 정보 (시스템 공통부, 거래 공통부) |
송수신 데이터 항목 | 송수신 시스템이 업무 수행 시 사용하는 데이터 |
공통 코드 | 상태 코드, 오류 코드 등 시스템 간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 |
정보 흐름 식별 | 데이터가 시스템 간에 어떻게 전송되는지 화살표로 식별 및 표시 |
8. 시험 대비 포인트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의 구성 요소(시스템 공통부, 거래 공통부)
- 송수신 데이터 항목과 공통 코드의 의미 및 역할
- 정보 흐름의 식별 방식 및 데이터 전송 방향 표시 방법
- 각 항목의 정확한 구분과 예시를 이해하여 시험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