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 | 설명 |
---|---|
요구사항 검토 | 요구사항 명세서의 오류, 결함 여부를 수작업으로 분석하는 방법 |
프로토타이핑 | 최종 결과물을 예측할 수 있는 견본(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요구사항을 검토하는 방법 |
테스트 설계 |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여 요구사항이 테스트 가능한지 확인하는 방법 |
CASE 도구 활용 | 자동화된 도구를 통해 요구사항의 일관성, 변경사항, 표준 준수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 |
방식 | 설명 |
---|---|
동료 검토 | 명세서 작성자가 동료들에게 내용을 설명하고 동료들이 결함을 발견하는 방법 |
워크스루 | 명세서를 사전 배포하여 여러 사람들이 미리 검토한 후, 짧은 검토 회의를 통해 결함을 발견하는 방법 |
인스펙션 | 검토 전문가들이 결함을 발견하는 공식적인 검토 방식 |
항목 | 설명 |
---|---|
완전성 | 요구사항이 누락 없이 완전하게 작성되었는지 확인 |
일관성 | 요구사항 간 모순이나 충돌이 없는지 확인 |
명확성 | 모든 참여자가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 확인 |
기능성 | 요구사항이 어떤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지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지 확인 |
검증 가능성 | 요구사항이 테스트를 통해 검증될 수 있는지 확인 |
추적 가능성 | 요구사항과 관련 문서들이 추적 가능한 상태로 작성되었는지 확인 |
변경 용이성 | 요구사항이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작성되었는지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