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76/100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정리


1.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개요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간 연동을 위한 요구사항이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술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 요구사항 명세서를 검토하여 오류, 누락, 모순 여부를 점검
  • 검토 후 승인된 요구사항은 개발 기준인 베이스라인(Baseline)으로 설정됨

2.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수행 절차

  1. 검토 계획 수립:
    • 검토 기준, 방법, 참여자, 체크리스트, 일정 등을 수립
  2. 요구사항 검토 및 수정:
    • 명세서와 목록을 바탕으로 요구사항 오류 및 결함을 확인하고 수정
  3. 승인 및 베이스라인 설정:
    • 검증 후 승인된 요구사항을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하여 개발에 반영

3. 요구사항 검증 방법

방법설명
요구사항 검토요구사항 명세서의 오류, 결함 여부를 수작업으로 분석하는 방법
프로토타이핑최종 결과물을 예측할 수 있는 견본(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요구사항을 검토하는 방법
테스트 설계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여 요구사항이 테스트 가능한지 확인하는 방법
CASE 도구 활용자동화된 도구를 통해 요구사항의 일관성, 변경사항, 표준 준수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

4. 요구사항 검토 방식

방식설명
동료 검토명세서 작성자가 동료들에게 내용을 설명하고 동료들이 결함을 발견하는 방법
워크스루명세서를 사전 배포하여 여러 사람들이 미리 검토한 후, 짧은 검토 회의를 통해 결함을 발견하는 방법
인스펙션검토 전문가들이 결함을 발견하는 공식적인 검토 방식

5.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주요 항목

항목설명
완전성요구사항이 누락 없이 완전하게 작성되었는지 확인
일관성요구사항 간 모순이나 충돌이 없는지 확인
명확성모든 참여자가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 확인
기능성요구사항이 어떤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지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지 확인
검증 가능성요구사항이 테스트를 통해 검증될 수 있는지 확인
추적 가능성요구사항과 관련 문서들이 추적 가능한 상태로 작성되었는지 확인
변경 용이성요구사항이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작성되었는지 확인

6. 시험 대비 포인트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의 개념, 수행 절차(계획, 검토 및 수정, 베이스라인 설정)
  • 요구사항 검증 방법(요구사항 검토, 프로토타이핑, 테스트 설계 등)
  • 검토 방식 3가지(동료 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와 특징
  • 검증 주요 항목(완전성, 일관성, 명확성 등 7가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