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 IP 주소와 동적 IP 주소

0

network

목록 보기
19/39

IP 주소 할당 방식: 정적 vs 동적


1. 정적 IP 주소 (Static IP Address)

정의

  • 관리자가 직접 호스트에 고정된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
  • 네트워크 연결이 일정하고, 주소의 변동이 없어야 하는 장비에 주로 사용.

특징

  • 설정: 수작업으로 IP 주소를 직접 입력.
  • 활용: 서버,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프린터), 기업 내부 네트워크.
  • 필요한 정보:
    •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게이트웨이 주소 (공유기 또는 라우터의 주소)
    • DNS 주소 (도메인 네임을 IP로 변환해주는 서버 주소)

장점

  • 네트워크 연결이 일정하며 항상 동일한 IP 주소를 유지.
  • 특정 IP 주소가 필요할 때 유용.

단점

  • 설정 및 관리가 번거롭고, 실수 가능성(중복, 잘못된 IP 주소 등).
  • 큰 네트워크에서는 수작업으로 모든 호스트를 설정하기 어렵다.

2. 동적 IP 주소 (Dynamic IP Address)

정의

  • 자동으로 할당되는 IP 주소.
  • DHCP 서버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에 동적으로 부여된다.

특징

  • 설정: DHCP 서버가 자동으로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
  • 활용: 가정용 네트워크, 기업의 사용자 단말기, 이동성이 큰 장비.
  • 임대 기간:
    • DHCP 서버는 IP 주소를 일정 기간 동안만 임대(Leasing).
    • 임대 기간이 끝나면 주소를 반납하거나 갱신 요청을 통해 기간을 연장.

DHCP를 통한 할당 과정
1. DHCP Discover (클라이언트 → 서버):

  •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상의 DHCP 서버를 찾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 클라이언트 IP 주소: 0.0.0.0.
  1. DHCP Offer (서버 → 클라이언트):

    • DHCP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할당 가능한 IP 주소 제안.
    •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등 정보 포함.
  2. DHCP Request (클라이언트 → 서버):

    • 클라이언트가 제안받은 IP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
    • 브로드캐스트로 전송.
  3. DHCP ACK (서버 → 클라이언트):

    • DHCP 서버가 요청한 IP 주소를 최종 할당.
    • 클라이언트는 할당받은 IP 주소를 사용.

임대 기간 갱신

  • 임대 갱신 메시지를 통해 임대 기간 연장 가능.
  • 갱신 실패 시 IP 주소 반납 후 재요청.

3. 정적 vs 동적 IP 주소 비교

구분정적 IP 주소동적 IP 주소
설정 방식수작업 (직접 입력)DHCP 서버에 의해 자동 설정
유지 기간고정 (영구적)임대 기간 동안만 사용 가능
활용 예시서버, 프린터, 라우터 등사용자 단말기, 모바일 장비, 일반 사용자 네트워크
장점변동 없이 일정한 주소 유지설정 간편, 대규모 네트워크 관리 용이
단점설정 및 관리 번거로움, 실수 가능주소가 변동되어 특정 장비 접근이 어려움

4. DHCP의 장점

  • 네트워크 관리 자동화.
  • IP 주소 관리 효율성 증대.
  • 네트워크 확장 용이.
  • 임대 기간 설정으로 유휴 IP 주소 최소화.

결론

정적 IP 주소는 네트워크 환경이 일정하고 안정적인 장비에 적합하며, 동적 IP 주소는 이동성과 유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합합니다. 특히 DHCP는 동적 IP 주소 관리의 핵심 기술로, 현대 네트워크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감사합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