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t
구조

- contracting path(줄어드는)
이미지의 전반적인 특징을 추출
이미지의 특징 추출
map의 크기는 줄고 channel은 늘고
- expanding path
lacalization을 가능하게함
map의 크기는 늘고 channel은 줄고
적용된 기법
- Random Elastic defomations
- pixel wise loss weight

경계에 가까운 픽셀일수록 가중치가 커진다.
한계점
- 깊이가 고정된다. 데이터셋 특성마다 깊이맞는게 다를수있다.
- 단순한 skip connection
같은 레벨의 encoder-decoder끼리만 concat
U-Net++
구조

모든 깊이의 탐색

모든 깊이에서 같은 레벨의 map을 concat
이는 depth가 다양한 모델들을 앙상블하는 효과
Hybrid loss

- hybrid loss = Pixel wise cross entropy + soft dice coefficient
deep supervision

loss는 각 depth에서의 loss를 평균
한계점
- 복잡한 connection -> 파라미터수 증가
- concat위해 앞단의 정보 저장 -> 메모리 증가
- 같은 레벨의 map만 concat한다는 것은 여전함
U-Net3+

구조
Full-scale skip connections
-
conventional
같은 level(scale)의 map concat
-
inter
낮은 scale의 map concat
경계 강조
-
intra
높은 scale의 map concat
위치정보 구현

적용된 기법
Classification-guided Module(CGM)

loss의 결합
- Focal Loss
- ms-ssim Loss
- Iou loss
다른 U-Net 모델
- Residual U-Net
- Mobile-UNet
- Eff-UNet
encoder의 backbone에 따라서 달라지는 모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