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ole.log
console.log 사용할때 그냥 console.log("something");로 찍지말고 console.log("test: after login ===>", something) 이런식으로 찍는게 좋다. 실제로 프로젝트 할때 콘솔을 많이 찍다보니 어디에 뭐가있는지 찾는게 너무나 어려웠다..
로거 함수를 만들어서 사용하는것도 좋다! 로거는 개발환경일때만 콘솔이 보이게끔 해주기 때문에 혹시라도 콘솔에 개인정보라던지 노출되면 안되는 중요한 정보들이 보여지는걸 막을 수 있다.
const logger = (msg) => {
if(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return;
}
console.log(msg);
}

주석 잘 달기
- 함수의 경우
- 파라미터로 뭘 받아오는 지
- 이 함수가 하는 일
- 리턴 값은 뭔 지
- 함수 사용 방법
- 컴포넌트의 경우
- 어떤 컴포넌트인지(역할 등을 설명)
- 필요한 props가 뭔 지
- 컴포넌트 사용 방법
- 주석에 들어가면 좋은 것
- 작업자가 누구인 지
- 수정을 했다면 어떤 걸 수정했는 지
내일부터는 드디어 본격적인 실전프로젝트를 시작한다. 뭔가 직접 기획부터 개발, 서비스배포, 서비스마케팅, 운영까지 해보는게 기대되면서도 잘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도 크다..ㅠㅠ
일단 어제 처음 디자이너분까지 모두 모여서 첫회의를 가졌고 잘 마무리 됐다. 기획을 구체화 할 수록 재밌어져서 빨리 개발해보고싶다는 생각이 든다. 프론트끼리 회의에서는 실전때는 완성도 있으면서도 효율적인 코드, 깔끔한 코드 등 코드를 잘 짜는데 신경을 쓰자는 생각이 모두 맞아서 회의가 수월하게 진행된거같아 첫스타트가 좋은거같다!! 내일부터 다시 힘내서 열심히 6주 달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