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week] Python 프로그래밍 & 라이브러리(1)

atdawn·2024년 9월 5일
0

AIVLE

목록 보기
2/25

1. Jupyter notebook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은 오픈소스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코드 작성, 실행, 시각화 및 문서화를 한 곳에서 할 수 있는 대화형 환경을 제공

시작

  • Anaconda Prompt 실행
  • 파일 탐색기에서 아래의 경로로 이동
  • 해당 위치에 실습 자료 저장
  • 프롬프트에서 해당 위치로 이동
  • jupyter lab 입력

파일(세션) 종료

  • 파란 점이 있으면 실행중임
  • shutdown

단축키

▪ Shift + Enter : 셀 실행, 다음 셀 이동
▪ Ctrl + Enter : 셀 실행
▪ Alt + Enter : 셀 실행, 아래 새 셀 생성

▪ D,D: 현재 셀삭제
▪ Z: 셀 삭제취소
▪ S: 저장

▪ Y: 코드 셀로 전환
▪ M: 마크다운 셀로 전환

▪ A : 현재 셀 위에 빈셀추가
▪ B: 현재 셀 아래에 빈셀추가

▪ X: 현재 셀 잘라내기
▪ C: 현재 셀 복사
▪ V: 현재 셀 아래에 붙여넣기

▪ Shift + M: 아래 셀과 합치기
▪ Ctrl + Shift + - : 셀 분할

▪ Shift + Tab: 툴팁 표시
▪ L: 코드 셀에서 라인번호 표시
▪ Ctrl + / : 주석

끄기- 엔진종료

  • 프롬프트 Ctrl + C

2. 자료형(List, Dictionary, Tuple)

리스트(List)

  • 리스트 생성하기
   # 리스트 생성하기 (대괄호)
list_a = [ 1, 2, 3, 4, 5 ]
list_b = ['a','b','c','d','e']
 # 전체 조회
print(list_a) #[1, 2, 3, 4, 5]
print(list_b) #['a', 'b', 'c', 'd', 'e']
  • 인덱스 값으로 조회
    • 인덱스 : 0부터 시작
    • 인덱스의 끝에서부터 셀 때 : -1, -2, 3, ...
  • 인덱스 범위 조회(슬라이싱)
    • 리스트[시작index:끝index]
    • 시작index <= 범위 < 끝index
  • 값 추가
    • .append()
    • 리스트 + [추가할 값] : 리스트1 + 리스트2 = 합쳐진 리스트
  • 값 수정
    • a[index] = value
  • 값 삭제
    • del a[index]
    • 특정 값을 찾아서 삭제 : 리스트.remove(값)
  • 함수
    • len(리스트) : 리스트값(element)들의개수
    • sum(리스트) : 값들이숫자일때, 합구하기
    • type(자료형) : 자료형의형태(type) (숫자, 문자, 리스트등)
  • 메서드
    • 리스트.append(값) : 리스트 제 일끝에 값 추가
    • 리스트.insert(인덱스, 값) : 특 정인덱스 위치에 값 추가.(뒤의값들은밀림)
    • 리스트.remove(값) : 해당 값을 찾아서 삭제
    • 리스트.sort() : 리스트의 값들을 정렬시켜서 저장 (오름차순)

Range 함수

  • 순차 증가값(등차행렬)으로 리스트 생성시
  • 문법 : range(시작값, 끝값, 증가값)
    • 시작값 생략 --> 0부터 시작
    • 증가값 생략 --> 1씩 증가
    • 끝값 : 포함 안됨, 이전까지
# 1부터 11까지, 2씩 증가하는 값으로 리스트 생성
list(range(1, 12, 2)) #[1, 3, 5, 7, 9, 11]

딕셔너리(dictionary)

  • 하나의 딕셔너리 안에 다양한 자료형 값들을 저장
  • 생성 : 중괄호 안에 key:value
dict_a = { 'v1' : 32,
           'l1' : [1, 2, 3],
           'd1' : {'a' : 1, 'b' : 2} }
print(dict_a) #{'v1': 32, 'l1': [1, 2, 3], 'd1': {'a': 1, 'b': 2}}
  • 딕셔너리 정보 조회
    • .keys() : 딕셔너리의 key 만 조회
    • .values() : 딕셔너리의 값 만 조회
    • .items() : key와 값을 쌍(tuple)으로 조회
  • 조회시 키로 값을 조회
    • 딕셔너리[키]
  • 수정
dict_a = { 'v1': 32, 'l1': [1,2,3], 'd1': {'a':1, 'b':2}}

# 추가
dict_a['v2'] = 500
print(dict_a)

# 수정
dict_a['v2'] = 300
print(dict_a)

# 삭제
del dict_a['v2']
print(dict_a)

3. 흐름 제어(조건문과 반복문)

Bool 연산자

  • 결과 : True / False
  • 비교 연산자(조건문)
    • ==
    • !=
  • 논리 연산자
    • and
    • or
    • not

조건 제어 if

if 조건문1 :
____코드1
elif 조건문2 :
____코드2
else :
____코드3

반복 제어 for loop

for 변수 in range() :
____코드

반복 제어 while loop

while 조건문 :
____코드
____조건변경문

4. 함수

# 함수 생성
def hello_world() :
    print('Hello, Python World~!')
    
# 함수 실행
hello_world()

입력 매개변수

def hello(name, loud = 1) :
    if loud == 1 :
        print('HELLO ' + name + ' ~!!!')
    else :
        print('Hello ' + name + ' ~~~')

hello(name = 'Han', loud = 0) # 매개변수 이름과 입력값
hello(name = 'Han')           # 기본값 지정 매개변수 생략
hello('Han')                  # 기본값 지정 매개변수 생략
hello('Han',0)                # 입력매개변수 이름 생략
hello(loud = 0, name = 'Han') # 입력값 순서 바꾸기

*입력 매개변수

  • 입력값의 갯수를 제한하지 않고 받고자 할 때
  • 입력된 데이터 타입은 tuple
def numbers(*nums) :
    print(nums, type(nums))
    
numbers(1, 2, 3)
numbers(2, 4, 6, 8, 10)

output

  • 함수의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 두가지
    • print : 화면에 출력만 수행
    • return : 화면 출력 + 함수 외부로 결과 반환(진짜 output)
    • 결과를 별도 변수에 저장하면, 화면 출력은 생략됨
    • 함수는 return을 만나면 종료됨
def numbers1(*nums) :
    print(nums)

def numbers2(*nums) : 
    return nums


# 함수 출력 : print
a1 = numbers1(1, 2, 3) #(1, 2, 3)
print(a1) #None

print('-'*20)

# 함수 출력 : return
a2 = numbers2(1, 2, 3)
print(a2) #(1, 2, 3)
  • 여러개 output
def calculator(a, b) :
    summ = a + b
    mult = a * b
    return summ, mult

r1, r2 = calculator(10, 5)
print(r1, r2)
profile
복습 복습 복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