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제어 - Dynamic Response

백승혁·2021년 10월 31일
0

자동제어

목록 보기
1/4
post-thumbnail

시스템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Linearity

학부 수준에서 제어공학이 잘 이루어 지려면 선형시스템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 한다.

입력에 α{\alpha}배 만큼 키운 입력을 주었을 때 α{\alpha}배된 출력이 나오면 이를 Homogenity라 한다.

입력에 u1,u2{u}_{1}, {u}_{2}의 합으로 주었을 때, 출력 또한 y1,y2{y}_{1}, {y}_{2}의 합으로 나오는 것을 Additivity라 한다.

위 Homogenity와 Additivity 둘다 만족하는 상황을 Principle of Superposition이라 한다. 선형 시스템은 Principle of Superposition을 만족한다.

Time Invariance

시간이 지남에 따라도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Philosophy는 Principle of Superposition에서 기본적인 입력(impulse, exponential, etc)에 대한 기본적인 응답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응답을 찾아내는 것이다.

Linearity : input  u1(t)=u(0)p(t)output  y1(t)=u(0)h(t)input\;{u}_1(t)=u(0)p(t) \rightarrow output\;y_1(t)=u(0)h(t)

Time Invariance : input  u2(t)=p(tτ)output  y1(t)=h(tτ)input\;{u}_2(t) = p(t-\tau) \rightarrow output\;y_1(t)=h(t-\tau)

Response by Convolution

LTI시스템에서 입출력은 Convolution integral로 연결된다.

Transfer Functions and Frequency Response

출력 H(jω)H(j\omega)에 대해서 Margin M(ω)=H(jω)M(\omega)=|H(j\omega)|이고 Phase ϕ(ω)=H(jω)\phi(\omega)=\angle H(j\omega)

Time Delay

L{f(tλ)}=esλF(s),λ>0L\{f(t-\lambda)\}=e^{-s\lambda}F(s), \lambda > 0
Time Delay가 생기게 되면 전반적으로 시스템이 불안정해진다. Time Delay는 전달함수의 분자에 esλe^{-s\lambda}꼴로 나타나게 되어, 주파수 관점으로 보게 된다면 유리화 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Pade 근사화를 통해 1차 지연으로 근사화 하여 시스템을 해석할 수 있다. 또 시간지연이 생기면 페이즈 마진이 줄어 감쇠비가 줄어들고 응답성이 낮아진다. 이건 주파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Bode Plot이나 Nyquest plot을 통해 알 수 있다.

Poles and Zeros

일반적인 Trnasfer Function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지니게 된다.

H(s)=b1sm+b2sm1++bm+1sn+a1sn1++anH(s) = \frac{b_1s^m+b_2s^{m-1}+\cdots+b_{m+1}}{s^n+a_1s^{n-1}+\cdots+a_n}

Impulse Response

h(t)=L1{H(s)}=L1KΠi=1m(szi)Πi=1n(spi)=natural  responseh(t) = L^{-1}\{H(s)\}=L^{-1}K\frac{\Pi^{m}_{i=1}(s-z_i)}{\Pi^{n}_{i=1}(s-p_i)} = natural\;response

The Block Diagram

블록 다이어 그램은 시스템의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형식을 말한다.
블록 다이어 그램의 종류는 크게 3가지가 있다.

Effect of Pole Locations

Complex poles : s=σ±jωds=-\sigma \pm j\omega_d
a(s)=(s+σjωd)(s+σ+jωd)=(s+σ)2+ωd2a(s)=(s+\sigma-j\omega_d)(s+\sigma+j\omega_d)=(s+\sigma)^2+\omega_d^2

Related transfer function :
H(s)=ωn2(s+σ)2+ωd2=ωn2s2+2ζωns+wn2H(s)=\frac{\omega^2_n}{(s+\sigma)^2+\omega_d^2}=\frac{\omega^2_n}{s^2+2\zeta\omega_ns+w^2_n}
σ:=ζωn,  ωd:=ω1ζ2\sigma:=\zeta\omega_n, \; \omega_d:=\omega\sqrt{1-\zeta^2}

ζ=σωn:=damping  ratio\zeta=\frac{\sigma}{\omega_n}:=damping\;ratio 여기서 θ\theta의 값이 작다면 (30°30\degree이하) θ=ζ\theta = \zeta가 된다.
ωn:=undamped  natural  frequency\omega_n:=undamped\;natural\;frequency \rightarrow 원점에서의 거리
ωd:=damped  natural  frequency\omega_d:=damped\;natural\;frequency

Impulse response : h(t)=ωn1ζ2eσt(sinωdt)1(t)h(t)=\frac{\omega_n}{\sqrt{1-\zeta^2}}e^{-\sigma t}(sin\omega_dt)1(t)
ζ\zeta가 커지면 커질수록 진동의 감속이 더 빨라진다.

Stability of complex poles

(Complex polse : s=σ±jωds=-\sigma\pm j\omega_d)
{σ<0:unstableσ=0:neutrally  stableσ>0:stable\begin{cases}\sigma < 0:unstable\\\sigma=0:neutrally\;stable\\\sigma>0:stable\end{cases}

Time-Domain Specifications

Rise time trt_r : reference의 10%에서 90%까지 올라가는데 걸리는 시간
Settling time tst_s : reference에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Overshoot MpM_p : 시스템에서 가장 maximum 값
Peak time : Maximum overshoot까지 걸리는 시간

Time-domain specifications for second order system

H(s)=wn2s2+2ζωns+ωn2H(s) = \frac{w_n^2}{s^2+2\zeta\omega_ns+\omega^2_n}

Overshoot and damping ratio


damping ratio가 크면 클수록 overshoot는 작아지게 된다.

시스템의 응답을 제어기를 통해 바꾸고자 할 때, 파형의 형태를 디자인 할 수 있다.

Effect of Zeros and Additional Poles

Pole 근처에 Zero가 위치하게 된다면 그곳과 관련된 natural response 작아지게 된다.

ex)

Pole이 2개있고 Zero가 하나있는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자

H1(s)=(s/αζωn)+1(s/ωn)2+2ζ(s/ωn)+1H_1(s)=\frac{(s/\alpha\zeta\omega_n)+1}{(s/\omega_n)^2+2\zeta(s/\omega_n)+1}

Zero:αζωn=ασ:{α0  (little  influence)α1  (substantial  influence)Zero : -\alpha\zeta\omega_n = -\alpha\sigma : \begin{cases} \alpha\gg0\;(little\;influence)\\\alpha\cong1\;(substantial\;influence) \end{cases}

Overshoot MpM_pα\alpha값이 감소할 수록 증가하지만, settling time에는 영향이 적다.

α>0\alpha > 0이면, Zero는 LHP에 위치해 있다. (minimum-phase system)

α<0\alpha < 0이면, Zero는 RHP에 위치해 있다. (nonminimum-phase system) 이는 위상의 변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Effect of extra pole(pole at αζωn=ασ-\alpha\zeta\omega_n=-\alpha\sigma)

H(s)=1(s/αζωn+1)[(s/ωn)2+2ζ(s/ωn)+1]H(s)=\frac{1}{(s/\alpha\zeta\omega_n+1)[(s/\omega_n)^2+2\zeta(s/\omega_n)+1]}

α\alpha가 커질수록 rise time이 커지게 된다.

Stability

제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
LTI시스템에서 Transfer function의 denominator polynomial이 negative real parts를 가진다면 stable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 Pole에 실수 측이 없고 허수 측만 존재한다면 시스템은 진동하게 된고 이를 oscillatory system이라 부른다.

Bounded Input-Bounded Output System

유한한 입력이 들어왔을때, 유한한 출력이 나오게 된다면 이는 bounded input-bounded output(BIBO) stability라 한다.
Impulse response h(t)h(t)시스템이 h(τ)dτ<\int_{-\infty}^{\infty}|h(\tau)d\tau|<\infty이면 BIBO-stable이다.

profile
초보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