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onfig /all
host
: 보통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PC)를 host라고 부르며, 보통 IP 주소가 할당된 모든 것들을 지칭하기도 한다.
switch
: 네트워크 그 자체를 이루는 host
End-point
: 네트워크(인프라)의 이용 주체(단말기) host
네트워크 망을 생각할 때는 출발지에서 여러 교차로를 거쳐 목적지에 도착하는 과정(고속도로 망)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주행하는 자동차는 패킷
, 교차로는 switch
, 교차로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interface 선택 또는 switching
과 연결지어 생각하면 된다.
switching을 할 때에는 특정 근거를 가지고 하는데, 어떤 정보를 근거로 switching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IP 주소(L3)를 근거로 switching -> L3 switching
Mac 주소로 switching -> L2 switching
port 번호로 switching -> L4 switching
이때 L3 switch를 Router
라고 부르며(Router가 L3 switch의 일종이다), Router에는 어떤 경로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 근거(이정표)로 Routing Table
이 존재한다.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할 때에는 '비용'을 생각한다.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A 경로와 B 경로가 존재한다면, 비용이 더 낮은 쪽을 택해야 하며, 네트워크 상에서의 이 비용을 Matric 값
이라고 부른다.
NIC(Network Interface Card)는 흔히 LAN(Local Area Network) card이다.
하나의 홈 네트워크가 LAN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또한 하나의 host(PC)가 NIC를 여러개 가질 수도 있다.
NIC은 H/W이며, MAC 주소를 갖는다. 즉 MAC은 NIC의 식별자이다.
패킷(packet)
은 인터넷 상에서의 이동 데이터 단위이며, L2 수준에서의 데이터 유통 단위는 'Frame(프레임)'
이다.
broadcast를 하는 동안에는 해당 broadcast 범위 내의 host(PC)들은 네트워킹이 불가능
하다. 따라서 broadcast 범위를 필요한 선에서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컴퓨터의 구성 요소로 H/W
와 S/W
가 존재하며, 이들을 다른 말로 각각 물리적(pysical)
, 논리적(logical 또는 virtual)
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CPU, 즉 H/W를 논리적으로 구현한 것이 바로 VM(virtual machin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