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의 대한 리스크 관리의 대한 나의 생각

Berkley·2024년 7월 27일
0

초기 시작은 그저 기획서를 제작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서 진행하기도 하였다. 기획서 작성에 대한 방법을 알아본 결과 사업계획서와 약 70% 정도는 비슷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나서, 기획서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김에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까지 알아보기도 하였다.

여기서 사업을 진행할 때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인 리스크 관리이며, 주변 사람들에게 사업을 할 때 리스크 관리도 같이 해야 한다는 말을 들어보았다.

나는 여기서 내가 생각하는 리스크 관리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1. 리스크란?

  • 사업을 진행할 때 재정적 손실, 금전적 손실, 이미지 손상 등 발생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
  • 대표적으로 프로젝트 지연, 비용 초과, 품질 문제, 외부 이미지 실추 등이 있다.

2. 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나?

  • 프로젝트 실패, 손해 배상 청구, 예산 초과 등으로 언제 어디서나 리스크가 존재한다.
  • 사업이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 정상적으로 사업을 운영하지 못한다.
  •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경우 미리 예방이 필요하며 이에 맞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리스크 관리에 적용되는 대상

  • 회사 이미지, 프로젝트, 인적 자원, 재무, 기술 등
  • 이 밖에도 여러 가지로 적용되기도 한다.

4. 리스크 관리 주요 전략

  • 재무재표

    1.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다.
    2. 초기 사업일 경우 자금 확보 방법과 수익 모델이 우선이다.
    3. 기존 사업 구조의 수익 모델 및 지출 모델을 점검한다.
    4. 수익 모델 - 예상 수익 모델의 약 10~50% 이하로 하한가를 측정한다.
    5. 지출 모델 - 예상 지출액을 약 10~50% 이상으로 상한가를 측정한다.
    6. 고객사로부터 수익, 자체 기술 운영, 서비스 운영으로부터 수익 등을 종합적으로 계산한다.
  • 인적 자원

    1. 직원 채용 과정부터 퇴사 과정까지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2. 왜 채용을 하려는지 확실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약 1년 정도 월급을 줄 여력이 있는지 확인 후 결정한다.
    3. 가장 관리하기 힘든 분야 중 하나는 인적 자원이다.
  • 기술 분야

    1. 기술은 언젠가 도태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한다.
    2.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탐구한다.
    3. 각 기술의 특징, 재원 등을 꾸준히 점검하고 고려해야 한다.
  • 시장 분야

    1. 현재 시장 트렌드를 분석하고 파악한다.
    2. 경쟁사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들이 이루지 못한 니즈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5. 마치며

여기서 나는 리스크 관리 전략에 대한 나의 견해를 작성해보았다. 이 외에도 더 많은 전략이 있을 것이며, 리스크 관리를 전담하는 사람이 따로 있을 것으로 안다. 하지만, 초창기 기업이나 작은 기업, 스타트업의 CEO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과제 중 하나라고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친다.

혹시, 다른 의견이나 좋은 의견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공유를 환영한다.

profile
성장하는 개발자 Berkley 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