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pic이란?
큰 사용자 가치(Goal)를 이루기 위한, 큰 규모의 작업 묶음
-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보다 상위 개념
- 하나의 Epic은 여러 개의 User Story로 쪼개짐
🔸 Epic → User Story → Task 구조
레벨 | 정의 | 예시 |
---|
Epic | 큰 사용자 목표/기능 | “사용자 로그인 시스템 구축” |
User Story | 사용자 관점의 기능 요구사항 (작은 기능 단위) | “나는 이메일로 로그인하고 싶다” |
Task | 개발자가 해야 할 실제 작업 | “백엔드에 로그인 API 만들기” |
🔸 Epic이 중요한 이유
장점 | 설명 |
---|
🎯 큰 목표 정렬 | 모든 작업이 하나의 비즈니스 목표(Epic)를 향해 나아감 |
📦 우선순위 조정 | Epic 단위로 전략적 우선순위 판단 가능 |
🧩 기획 관리 효율화 | 복잡한 요구사항을 Story/Task로 나눠 관리 가능 |
📊 진행 추적 | Epic 레벨에서 진행률 추적 가능 (ex. Jira, Notion 등 툴 활용) |
🔸 Epic을 사용하는 시점
- 🚧 기획 초기 단계에서 기능 덩어리를 정의할 때
- 🧠 제품 로드맵(Roadmap)을 짤 때
- ✅ 스프린트 계획 시 Story를 추출할 때
🔸 실무 예시 (커머스 앱 개발)
Epic: “상품 결제 기능 구현”
- User Story 1: “사용자는 장바구니에서 결제를 시작할 수 있다”
- User Story 2: “사용자는 다양한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 User Story 3: “결제 후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 각각 Story는 개발자, 디자이너, QA의 Task로 나뉨
🔸 PM으로서 Epic 다룰 때 팁
팁 | 설명 |
---|
🔍 고객 가치 중심으로 정의 | “시스템 구축”이 아니라, “고객이 무엇을 할 수 있게 되는가”로 표현 |
📐 크기 조절 | 너무 크면 쪼개고, 너무 작으면 User Story로 둬도 됨 |
⏳ 타임박스 설정 | Epic 하나에 몇 주 이상 걸리면 별도 프로젝트로 분리 고려 |
🧭 로드맵과 연동 | Epic 단위가 분기별 목표와 연결되면 더 효과적 |
✅ Epic 작성의 일반적 구성
1. Epic 이름 / 제목
- 짧고 명확하게, 무엇에 대한 Epic인지 드러나게
- 예: 상품 리뷰 기능 구축, 회원가입 개선, 결제 프로세스 리디자인
2. Epic 설명 (Epic Description)
- 비즈니스 목표 또는 사용자 가치 중심으로 작성
- 예: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후기를 남기고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고, 플랫폼 내 체류시간 및 전환율을 높인다.
3. 수행 범위 (Scope)
- Epic에 포함될 주요 기능이나 요구사항 요약
- 예:
- 리뷰 작성/수정/삭제 기능
- 리뷰에 사진 첨부
- 별점 평가
- 리뷰 정렬(최신순, 평점순)
4. Acceptance Criteria (수용 기준)
- Epic이 완료되었다고 간주하기 위한 조건들
- 예:
- 사용자는 상품 상세 페이지에서 리뷰를 남길 수 있다
- 리뷰는 로그인 사용자만 작성 가능하다
- 리뷰는 등록 후 즉시 노출된다
5. 관련 User Stories
- Epic 안에 들어가는 User Story 목록 링크 또는 리스트
- (Jira에서는 자동 연결되기도 함)
- 예:
- STORY-101 : 사용자는 리뷰를 작성할 수 있다
- STORY-102 : 리뷰에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다
6. 우선순위 / 타임라인 / 담당자
- 언제까지? 누가?
- (툴에 따라 별도 필드로 관리되기도 함)
✍️ 예시 (형식으로 작성)
📌 Epic
🎯 목표
- 사용자가 리뷰를 남기고, 타인의 리뷰를 보고, 구매 결정을 돕게 함
- 이를 통해 전환율 +12% 향상 목표
📦 범위
- 리뷰 작성/편집/삭제
- 별점 시스템 도입
- 리뷰 이미지 업로드
- 리뷰 정렬 기능 (최신순, 평점순)
✅ 수용 기준
- 로그인한 사용자는 상품당 1개의 리뷰를 등록할 수 있다
- 리뷰는 등록 후 1초 이내 노출된다
- 비로그인 사용자는 리뷰를 열람만 가능
📌 관련 Story
- STORY-202: 리뷰 입력폼 UI 구현
- STORY-203: 리뷰 API 개발
- STORY-204: 리뷰 정렬 기능 구현
🛠️ 도구별 예시
도구 | 특징 |
---|
Jira | Epic → Story → Task 계층이 명확. 태그와 트래킹 기능 강력함 |
Notion | 유연한 서술형 작성에 좋음. Wiki처럼 상세 설명하기에 유리 |
Trello | 카드 기반 시각적 관리에 강점. Epic → Story는 라벨/링크로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