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의 관점에서 특정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표현한 티켓
- 무엇을 왜 원하는지
- 어떻게 만족시킬 수 있는지
를 명확히 담은 작은 기능 단위의 요구사항 카드.
→ Epic을 쪼갠 것들이 바로 이 Story Ticket들
항목 | 설명 | 예시 |
---|---|---|
제목(Title) | 간단한 기능 요약 | “리뷰 작성 기능 추가” |
설명(Description) | 사용자의 니즈와 목적 | “구매자는 상품 상세페이지에서 리뷰를 남기고 싶어 함. 이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 |
User Story 문장 | 아래 공식에 맞춰 작성 | “나는 [무엇을 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다]”예: “나는 상품에 대한 내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리뷰를 남길 수 있다.” |
Acceptance Criteria | 기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 | - 로그인한 사용자만 리뷰 작성 가능- 리뷰는 최소 10자 이상- 저장 후 페이지에 즉시 반영됨 |
우선순위 / 담당자 / 태그 | 개발 흐름을 위한 보조 정보 | 우선순위: High담당자: BE 개발자 A태그: #리뷰 #고객신뢰 |
작업 추정치 (선택) | 스토리포인트(예: 3점), 시간 추정치 등 | 3 Story Points (Scrum 방식 사용 시) |
이유 | 설명 |
---|---|
🎯 사용자 중심 개발 유도 | “내가 뭘 만들고 있지?”가 아니라, “누굴 위해 뭘 만드는가?”를 계속 상기 |
🧩 개발 분업에 최적화 | 프론트/백엔드/디자인 각 역할별로 작업 쪼개기 용이 |
✅ 검증 가능성 명확화 | Acceptance Criteria가 QA/검수 기준이 됨 |
🗂️ 트래킹 가능 | Jira/Notion 등에서 진행 상태 추적에 활용됨 |
🎫 [STORY-203] 상품 리뷰 작성 기능
🎯 목적
🧑💻 User Story
✅ Acceptance Criteria
⏱ 예상 작업시간: 2 Story Points
📎 Epic: 상품 리뷰 기능 도입
👨🔧 담당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B
팁 | 설명 |
---|---|
✍️ 명확한 사용자 시나리오 기반으로 작성 | “왜 이걸 원하지?”를 먼저 생각하고 써라 |
🧪 Acceptance Criteria는 모호함 없이 작성 | 개발자/QA가 “완료 기준”을 헷갈리지 않도록 |
🧩 작게 쪼개라 (한 번에 개발 가능한 단위로) | 너무 큰 건 Epic 또는 Subtask로 쪼개기 |
🔁 동료와 리뷰하라 | Story는 협업 문서이기도 하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