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f문의 방식을 틀리면 return하게 사용.
if(!myPassowrd) {
alert("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
return
}
컴포넌트가 여러개인 경우 데이터를 넘겨받는 쪽에서 데이터타입을 명시해야한다.
React에서 changeEvent 라는 타입을 제공한다. (reac에서 제공함으로 import 해야한다.)
const onChangeMyWriter = (event: ChangeEvent<HTMLInputElement>) => {
setMyWriter(event.target.value)
}
GRAPHQL-CODEGEN : 자동으로 API 데이터 타입을 생성해준다.
→ REST-API는 해당 안되기에 손으로 직접 해야한다.
.yml 파일 (야믈파일)
: 설정을 해주는 셋팅파일이다. .json과 다르게 들여쓰기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파일이다.
— 스키마(schema): api 통신하는 곳의 주소 ex) http://example.codebootcamp.co.kr/graphql
— types.ts : generates가 생성될 장소 지정
— plugins : typescript
eslint : 여러사람과 협업을 할 때, 사용하지 않는 변수를 없애기 등 문법적 규칙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도구
ex) ‘’ , “”
규칙 정하기
: .eslintrc.js 파일에 규칙을 추가할 수 있다.
rules: {
'react/react-in-jsx-scope': 'off',
'react/prop-types': 'off'
}
Next JS에서는 리액트를 따로 import 하지 않아도 되고typeScript 사용하기때문에 위의 규칙을 추가한다.
prompt(”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Array.prototype.sort() - JavaScript | MDN
: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이다. 하지만 숫자의경우 맨앞숫자만 비교하기때문에 정렬이 이상해질 수 있다.
arr = [1,3,9,12,102,86]
arr.sort() // 결과괎 : [1, 102, 12, 386,9]
때문에 정확한 정렬을 위해 sort() 안에서 콜백합수를 설정해야한다.
arr = [1,3,9,12,102,56]
arr.sort({a,b} => return a-b)
//a - b : 오름차순 b - a : 내림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