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ete user.age;
let fruit = prompt("어떤 과일을 구매하시겠습니까?", "apple");
let bag = {
[fruit]: 5, // 변수 fruit에서 프로퍼티 이름을 동적으로 받아 옵니다.
};
alert( bag.apple ); // fruit에 "apple"이 할당되었다면, 5가 출력됩니다.
let fruit = prompt("어떤 과일을 구매하시겠습니까?", "apple");
let bag = {};
// 위와 같은 코드!
// 변수 fruit을 사용해 프로퍼티 이름을 만들었습니다.
bag[fruit] = 5;
let user = { name: "John", age: 30 };
alert( "age" in user ); // user.age가 존재하므로 true가 출력됩니다.
alert( "blabla" in user ); // user.blabla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false가 출력됩니다.
// === undifined 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에러가 있는 경우도 있어 in 연산자 사용 권장
let user = {
name: "John",
age: 30,
isAdmin: true
};
for (let key in user) {
// 키
alert( key ); // name, age, isAdmin
// 키에 해당하는 값
alert( user[key] ); // John, 30, true
}
let codes = {
"+49": "독일",
"+41": "스위스",
"+44": "영국",
// ..,
"+1": "미국"
};
for (let code in codes) {
alert( +code ); // 49, 41, 44, 1
}
Object.assign(dest, [src1, src2, src3...])
모든 객체의 프로퍼티가 dest 에 복사된다.
let user = {
name: "John",
age: 30
};
user.sayHi = function() {
alert("안녕하세요!");
};
user.sayHi(); // 안녕하세요!
// 아래 두 객체는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user = {
sayHi: function() {
alert("Hello");
}
};
// 단축 구문을 사용하니 더 깔끔해 보이네요.
user = {
sayHi() { // "sayHi: function()"과 동일합니다.
alert("Hello");
}
};
function User(name) {
// this = {}; (빈 객체가 암시적으로 만들어짐)
// 새로운 프로퍼티를 this에 추가함
this.name = name;
this.isAdmin = false;
// return this; (this가 암시적으로 반환됨)
}
function User(name) {
this.name = name;
this.sayHi = function() {
alert( "제 이름은 " + this.name + "입니다." );
};
}
let bora = new User("이보라");
bora.sayHi(); // 제 이름은 이보라입니다.
/*
bora = {
name: "이보라",
sayHi: function() { ... }
}
*/
let user = {}; // 주소 정보가 없는 사용자
alert( user?.address?.street ); // undefined,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심볼 id에는 "id"라는 설명이 붙습니다.
let id = Symbol("id");
객체의 ‘숨김’ 프로퍼티 – 외부 스크립트나 라이브러리에 ‘속한’ 객체에 새로운 프로퍼티를 추가해 주고 싶다면 심볼을 만들고, 이를 프로퍼티 키로 사용하면 된다. 키가 심볼인 경우엔 for..in의 대상이 되지 않아서 의도치 않게 프로퍼티가 수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단 Object.assign 은 키가 심볼인 프로퍼티를 배제하지 않고 객체 내 모든 프로퍼티를 복사한다.) 외부 스크립트나 라이브러리는 심볼 정보를 갖고 있지 않아서 프로퍼티에 직접 접근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심볼형 키를 사용하면 프로퍼티가 우연히라도 사용되거나 덮어씌워 지는 걸 예방할 수 있다.
사실 심볼을 완전히 숨길 방법은 없다. 내장 메서드 Object.getOwnPropertySymbols(obj)를 사용하면 모든 심볼을 볼 수 있고, 메서드 Reflect.ownKeys(obj)는 심볼형 키를 포함한 객체의 모든 키를 반환해준다. 그런데 대부분의 라이브러리, 내장 함수 등은 이런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원시값을 기대하는 내장 함수나 연산자(+, - 등)를 사용할 때 객체-원시형으로의 형 변환이 자동으로 일어난다.
객체->원시형으로의 형 변환은 hint(목표로 하는 자료형)를 기준으로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 "string" (alert 같이 문자열을 필요로 하는 연산)
- "number" (수학 연산)
- "default" (드물게 발생함)(연산자가 기대하는 자료형이 ‘확실치 않을 때’)
obj.toString()만 사용해도 '모든 변환’을 다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실무에선 obj.toString()만 구현해도 충분한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