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 변환(Transformation): 입력으로 벡터를 받아 다른 벡터를 출력하는 함수(function).
T(v)=w
의 형태로, 벡터 v를 벡터 w로 이동시키는(Transform) 함수다.
🔹 시각적 이해 (Geometric Interpretation)
벡터를 “화살표”가 아닌 “화살표의 끝점(point)”으로 보면, 변환이란 공간상의 모든 점이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 모든 벡터(=점)가 새로운 좌표로 이동한다.
- 변환 전체를 보면, 공간이 움직이거나 찌그러지는(squishing/morphing) 듯한 효과가 생긴다.
선형대수에서는 아무 변환이나 다루지 않는다. 특정한 두 가지 성질을 만족해야 선형(linear)이라고 부른다.
| 조건 | 설명 |
|---|
| ① 직선 보존(Line preservation) | 직선(line)은 곡선(curve)으로 변하지 않는다. |
| ② 원점 보존(Origin fixed) | 원점(origin)은 이동하지 않는다. |
즉, 격자(grid)를 변형하더라도 격자선이 평행(parallel)하고 균일하게 간격이 유지(evenly spaced)되어야 한다.

3. 변환을 숫자로 표현하기
🔹 기본 벡터(Basis vectors)
2차원 공간에서 모든 벡터는 두 개의 기저벡터(basis vectors)
i^=[10],j^=[01]
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된다.
예:
v=−1i^+2j^
🔹 핵심 아이디어
선형변환에서는 i-hat과 j-hat이 각각 어디로 가는지만 알면,
모든 벡터의 이동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즉,
T(v)=−1∗T(i^)+2∗T(j^)
4. 예시
예시 1️⃣
변환 후:
i^→(1,−2)j^→(3,0)
그렇다면,
v=−1i^+2j^
은 다음으로 이동한다:
T(v)=−1(1,2)+2(3,0)=(5,2)
이제 변환 전체를 보지 않아도, i^,j^의 이동만으로 모든 벡터의 결과를 구할 수 있다!
5. 행렬(Matrix)과의 관계
이제 행렬(matrix)은 선형변환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행렬의 구성
2D 변환의 경우,
Matrix=[acbd]
- 첫 번째 열(column): i^가 이동한 좌표
- 두 번째 열(column): j^가 이동한 좌표
즉,
[acbd]=[T(i^)T(j^)]
🔹 행렬-벡터 곱(Matrix-Vector Multiplication)
[acbd][xy][ax+bycx+dy]
이는 곧,
xT(i^)+yT(j^)
와 같다.
즉, 벡터를 스케일링(scaling)하고 더하는 연산 = 선형변환의 계산 방식이다.
6. 대표적인 선형변환 예시
![image.png]()
7. 선형종속(Linear Dependence)과 공간의 압축
T(i)T(i^)T(
만약 T(i^)와T)j^)가 선형종속(linearly dependent)이라면 (즉, 하나가 다른 하나의 스칼라배라면) 모든 2차원 공간이 한 직선(line) 위로 눌려버린다. 이걸 “2차원 → 1차원으로 압축(squish)”한다고 표현한다.
8. 요약 (Summary)
| 개념 | 설명 |
|---|
| 선형변환(Linear Transformation) | 공간을 움직이는 함수로, 직선 유지 & 원점 고정 |
| 기저벡터(Basis vectors) | 공간의 방향을 정의하는 기본 벡터들 |
| 행렬(Matrix) | 각 기저벡터가 이동한 좌표를 열(column)로 기록한 것 |
| 행렬-벡터 곱(Matrix-vector multiplication) | 선형변환을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 |
| 선형종속(Linear dependence) | 한 벡터가 다른 벡터의 배수일 때. 공간이 압축됨 |